책은 2007년 미국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사건을 배경으로 이민자와 입양인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과 비극 이후 남겨진 자가 겪는 마음의 문제를 비춘다.
한국에서 미국으로 입양된 노아 헤리슨과 미국으로 이민을 온 미셸 은영 송은 이방인으로서 경험을 공유한 연인이다. TV를 통해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사건을 접한 노아는 충격으로 이어진 우울감을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
은영은 연인을 잃은 슬픔과 사건의 가해자와 같은 국적자로서의 두려움, 반발심 등 이민자로서의 삶에 공감하는데다 죄책감까지 복잡한 감정에 휩싸이며 혼란스러워한다. 우연히 노아에게 다른 이름이 있음을 알게 되고 이름을 찾아 뿌리인 한국으로의 여정을 떠난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가 침몰했을 때 2007년 4월 16일 버지니아공대 총격사건을 떠올렸다는 저자는 "희생자 가족들과 친구들은 가해자였던 스물세 살 그 청년을 '폭력'과 '죽음'이라는 이름 아래 동등한 '희생자'로 품었다"며 "분노보다 슬픔이 희생자들을 기억하는 힘이 될 수도 있을 것만 같아서 오래 그 마음에 고개 숙였다"고 말한다.
문학상 심사위원회는 "집요하게 파고들어 드러낸 폭력과 공포의 무늬가 분명하고, 디아스포라의 질곡을 깊이 경험한 자만이 표현할 수 있는 생생한 언어로 작가의 의도를 전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인간이 비극속에서 느끼게 되는 양가적이고 모난 감정들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비극의 어둠 속에서 작지만 분명한 온기를 가진 빛을 발견해내며 읽는 이로 하여금 '비폭력·공감·애도'라는 세 개의 빛이 어떻게 생겨나 서로 투영될 수 있는지를 느끼게 한다.
임채희 지음 | 은행나무 | 2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