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방류 열흘째…韓日, 수산물 먹방‧용어 논란에 '들썩'

류영주 기자

지난달 24일부터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이후 약 열흘 동안 모니터링 결과에서 이상 징후는 없는 상태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각각 자국 내 어민 피해를 우려해 '수산물 소비' 촉진에 나선 가운데 오염수‧처리수 용어 논란이 벌어지는 등 향후 진통이 예상된다.
 
1일 정부와 외신 등에 따르면 오염수 방류가 개시된 지 열흘가량 지났지만 후쿠시마 근해 바다의 방사능 및 삼중수소 농도는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다. 박구연 국무1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도쿄전력 측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현재까지 계획대로 방류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도쿄전력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해수배관 헤더시료의 방사능과 방출지점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 삼중수소 농도, 오염수 이송유량 등을 매일 발표하고 있다. 방류 시작 후 3~5일 사이엔 다량의 해수와 섞어 희석 작업을 거친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를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당초 도쿄전력은 방류 직전 사전 검사에선 1톤가량의 오염수를 약 1200톤 해수로 희석해 삼중수소 농도가 ℓ(리터)당 43~63㏃(베크렐)로 낮아졌다고 했지만, 실제론 희석비율을 1 대 700로 낮추면서 리터당 200㏃가량으로 삼중수소 농도가 높아졌다는 지적이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방류 설비. 연합뉴스

이에 대해 임승철 원안위 사무청장은 지난달 31일 브리핑에서 "오염수 500㎥ 미만, 희석 비율 100배 이상, 삼중수소 농도의 배출목표치 리터당 1500Bq 미만에 맞춰 방출하겠다는 (일본의)계획에 따라 방출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도쿄전력은 일단 오는 9일정도까지 방류 초반 약 17일 동안 7800톤에 달하는 오염수를 방류하며 시험 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올해 회계연도가 완료되는 오는 2024년 3월까지는 K4 탱크 30기에 달하는 3만1200톤을 방류하겠다는 구상이다.
 
수치상 이상 징후는 없었지만 한국과 일본 정부는 각각 내부에서 후속 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방류 직후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전면 수입 금지 조치를 단행하자, 강력 반발했다.
 
오히려 기시다 총리는 '후쿠시마현산 수산물 먹방' 행보를 통해 소비 촉진 운동에 적극 나섰다. 지난달 31일 도쿄 소재 수산물 시장인 도요스 시장을 방문한 기시다 총리는 후쿠시마현산 문어를 시식 후 "맛있고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후쿠시마현산 수산물 수입 규제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 등을 향한 규제 철폐 압박 행보로 읽힌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국내 어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수산물 시식에 나섰다. 지난달 31일 윤 대통령은 참모들과 함께 서울 노량진수산시장을 방문해 우럭과 꽃게 등 우리 수산물을 직접 구매하는 동시에 현장에서 우럭탕과 전어구이 등 수산물 오찬을 함께 했다.
 
여당인 국민의힘도 최근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국내 수산물 위주 메뉴를 구성했고,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도 국내 수산물 시식을 진행했다. 용산 대통령실은 구내 식당 점심 메뉴에 일주일 간 국내 수산물로 만든 음식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 와중에 양국 내부에선 '오염수' 명칭을 두고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당초 지난 5월 '오염수(Contaminated Water)'와 '처리수(Treated Water)'를 두고 격론 끝에 우리 정부는 '오염수'를 사용하기로 했지만, 방류가 시작된 이후 용어를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공방이 벌어졌다.
 
지난달 30일 '수협·급식업계 간 수산물소비 상생 협약식'에 참석한 수협 관계자가 어민들을 위해 '처리수' 용어 사용을 주장한 이후,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인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은 명칭에 대해 "오염 처리수가 맞다"고 공식화했다. 이후 유상범 대변인과 김기현 당 대표 등도 용어 변경 필요성에 힘을 실었다.
 

정부는 일단 '용어 변경'을 검토해보겠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박구연 국무1차장은 "총칭하는 차원에서는 오염수 표현이 유지가 될 것"이라고 했고, 한 총리는 국회 예결위 질의에서 용어 변경 여부를 "검토해보겠다"고 열어둔 상태다.
 
일본 내부에선 우리나라와 정반대의 상황이 펼쳐졌다. 지난달 31일 노무라 데쓰로 일본 농림수산상은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 과정에서 일본 정부가 사용하는 '처리수' 대신 '오염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가 곤욕을 치렀다.
 
노무라 농림수산상은 당시 총리관저에서 기시다 총리와 면담 후 나오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문답 중에 "오염수 그 뒤의 평가 등에 대해 정보를 교환했다"고 했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진 직후 기시다 총리는 노무라 농림수산상의 사죄와 발언 철회를 지시했고, 노무라 농림수산상은 "잘못 말한 데 대해 사과하고 철회한다"며 "불쾌하게 해서 미안하다"고 했다.
 
일본 측은 핵종 정화 설비인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를 거치는 만큼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라고 주장하지만, 일각에선 여전히 70%가량 오염수가 정화되지 않은 데다 핵종의 완전 정화 능력도 검증되지 않아 용어 변경은 이르다는 반박이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5월 용어 논란 당시에 정부가 깔끔하게 정리를 했어야 했다"며 "여론 눈치를 보며 미루다 보니 상황이 악화됐다. 전략적인 패착인 셈"이라고 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