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스펙'보다 '어떤 산업이냐' 중요했다…임금 격차 무려 54%

연합뉴스

학력과 성별, 연차 등 노동자 개인의 조건이 같아도 전자부품 관련 제조업에서 일하는 것과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일하는 것 간 임금 격차는 54%에 달했다. 이는 10년 전 40% 차이가 나는 것에서 더 심해진 것이다.

고임금과 저임금 분포 양 끝단의 산업 10개가 산업 간 임금 격차를 주도했다는 한국은행 연구 결과가 3일 나왔다. 한은이 이날 공개한 '산업간 임금 격차 확대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9~2021년 산업간 불평등 정도는 2009~2012년 0.06에서 2018~2021년 0.09로 높아졌다. 산업간 임금 격차가 커졌다는 의미다.

격차를 심화시킨 것은 72개 산업 중 10개 산업이었다. 고임금 산업 5개(전자부품 제조업, 연구개발업, 금융·보험 서비스업, 금융업, 전문서비스업)와 저임금 산업 5개(사회복지 서비스업, 기타 개인 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음식점·주점업, 사업지원 서비스업)가 양 극단에서 임금을 각각 올리거나 끌어내렸다. 중간에 위치한 산업들에서 임금이 수렴된 것과 대조적이다.

연합뉴스

성별과 학력,나이,경력 등 개별 노동자의 특성을 제외해도, 어떤 산업에 종사하느냐가 임금 차이를 불러왔다. 10년 전에 비해 고임금 산업의 임금 프리미엄, 즉 노동자가 개인적 특성과 상관 없이 특정 산업에서 다른 산업보다 더 받는 임금은 갈수록 커졌다. 반대로 저임금 산업의 프리미엄은 줄어들었다. 특히 저임금 산업에서 임금을 끌어내리는 수준이 고임금 산업이 임금을 높이는 수준보다 더 컸다는 게 눈에 띈다.

노동자가 몸 담고 있는 산업이 전자부품 제조업 같은 고임금 산업군일 경우, 학력과 성별 등 다른 조건이 같아도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경우보다 임금이 낮았다. 이는 2009~2012년 40% 차이였던 것이 2018~2021년 54%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연합뉴스

이같은 현상에 대해 보고서는 고임금 산업의 경우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높은 임금이 유인으로 제시되는 데 반해 저임금 산업은 대형 프랜차이즈 체계로 바뀌면서 노동자의 협상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한은 조사국 오삼일 고용분석팀 차장은 이를 '선별과 단절' 이라고 설명하면서 산업간 임금 격차가 장기적으로 더 커지고 노동자의 이동 수준도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