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은 연초 방영된 tvN 토일드라마 '철인왕후'였다. 최고 시청률 17.4%(닐슨코리아 전국 기준)를 기록했지만 '역사왜곡' 드라마라는 오명을 끝내 벗지 못했다.
'철인왕후'는 판타지 코믹 사극 드라마를 표방해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여기에 가상이 아닌 실제 역사적 인물들을 등장시켜 방영 초기부터 왜곡·폄훼 논란에 휩싸였다.
조선 후기 왕인 철종을 비롯해 철인왕후, 신정왕후, 순원왕후 등이 지나치게 희화화됐다는 지적이었다. 특히 신정왕후가 미신을 신봉하거나 회임 방법을 구체적으로 가르쳐주는 장면, 순원왕후가 안티에이징에만 몰두하는 장면 등은 관련 종친회의 거센 항의를 받았다. 결국 당초 풍양 조씨·안동 김씨로 소개됐던 두 왕후 캐릭터의 소개는 가상 성씨로 수정됐다. 다만 철종과 철인왕후는 실존 인물 그대로 남겨뒀다.
이뿐만 아니라 조선왕조실록, 종묘제례악 등 한국의 중요 문화유산을 두고 '지라시'(미확인 정보)로 평하거나 '술게임'에 사용하는 연출이 나와 질타를 받았다.
'철인왕후' 제작진은 이를 사과하고 문제적 장면들을 삭제 조치했다. 제작진의 신속한 대처로 사태는 진화됐지만 여전히 '역사왜곡 드라마' 꼬리표는 남았다. 이 여파로 주연 배우였던 신혜선과 김정현을 모델로 기용한 업체를 두고 불매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SBS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는 역사왜곡 논란 직격탄을 맞아 2회 만에 폐지됐다.
'철인왕후' 박계옥 작가의 차기작답게 실존 인물과 역사적 배경에 판타지를 가미했다. 그러나 조선 건국의 기초를 다진 태종이 폭군처럼 묘사되거나 훗날 세종이 되는 충녕대군이 사신단에게 술 따르는 장면 등이 역사왜곡 논란에 불을 붙였다. 또 중국풍을 연상시키는 소품과 복식을 사용해 동북공정 논란까지 더해졌다.
결정적 문제는 조선 건국과 유지에 서양의 바티칸 개입이 있었다는 전체 설정이었다. 이로 인해 가상 국가나 시대 배경이 아닌 실제 역사 배경을 차용했기에 조선건국사 자체가 왜곡될 위험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조선구마사'를 향한 전국민적인 비판이 확산되면서 제작지원사를 비롯해 광고·협찬사 대다수가 지원을 철회했다. 조선왕실 후손인 전주이씨종친회도 공식 항의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SBS 지상파 승인을 불허해 달라는 청원까지 올라왔다.
걷잡을 수 없는 사태에 SBS는 결국 '조선구마사' 방영 취소라는 사상 초유의 결정을 내렸다. 해외 판권 계약은 해지됐고, 스트리밍 서비스 역시 중단됐다. 극중 충녕 역을 연기한 배우 장동윤이 처음으로 사과문을 올렸고 뒤이어 이유비, 박성훈, 김동준, 정혜성, 감우성 등이 고개를 숙였다.
1987년을 배경으로 가져온 '설강화'는 방송 2회 만에 민주화운동사 왜곡, 안기부(국가안전기획부) 미화 논란에 휩싸였다. 이미 지난 3월 시놉시스 유출과 등장인물 설정으로 역사왜곡 논란을 빚었지만 실제 방송분에서 문제적 요소들이 바뀌지 않았던 것이다.
남자 주인공인 간첩 임수호(정해인 분)가 운동권 학생으로 오인 받는 장면, 안기부 캐릭터 개개인에게 서사를 부여하고 '진짜 간첩'을 쫓는 충실한 요원으로 그린 설정 등이 문제로 지목됐다. 해당 장면과 설정이 북한·간첩과 연계됐다는 주장으로 민주화운동 역사를 훼손하려는 일각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줄 뿐만 아니라, 당시 간첩 조작 사건을 주도하고 국가폭력을 행사했던 권력 기관들 논리를 정당화한다는 비판이었다.
'설강화' 폐지를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은 일찌감치 30만명을 돌파했고, 1987년 당시 국가폭력에 희생된 박종철 열사, 이한열 열사 측까지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나 JTBC는 수정 없이 "초반 전개에 대한 오해를 풀겠다"면서 '설강화' 방영을 강행했다.
이들 드라마는 역사적 인물이나 시대를 안일하게 가져와 역풍을 맞았다. 창작과 표현의 자유라는 명분 아래 민족의 뿌리와 정체성, 시대의 아픔을 외면했다는 비판이었다. 존중과 배려 없이 휘두른 자유가 뼈아픈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가상'과 '허구'의 자유에 따르는 창작자의 책임과 역사의식이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