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 반대하는 쪽에서는 이를 이용해 현 정부가 시 주석 방한에 목을 매고 있다면서 사대주의적 태도라고 비판한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의 3일 회담에서도 5시간 가까운 긴 시간 동안 많은 얘기를 나눴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언론의 큰 관심축의 하나는 시 주석 방한 문제다.
우리는 회담 직후 정의용 장관이 직접 취재진을 만나 "시 주석이 가급적 조기에 코로나19상항이 안정되는 대로 방한하기로 하고 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가 "일정 등 구체적인 계획을 지금부터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측 입장은 달랐다. 중국 외교부가 홈페이지에 발표한 한중외교장관 회담 소식에는 시 주석 방한 내용이 아예 없다. 언론에 공개된 확대회담 모두 발언에서도 왕이 부장은 시 주의 방한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해 8월에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부산을 방문해 정의용 당시 청와대 안보실장을 만났을 때도 그랬고 지난 2월 정 장관 취임 이후 이뤄진 한중 외교장관 간의 첫 전화통화 때도 중국 외교부 발표에서 시 주석 방한 내용은 빠졌다.
그러나 시 주석의 한국 방문 의사는 확고하지만 코로나19 때문에 못가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 여건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마스크를 가리키며 "꼭 코로나가 끝난 뒤라고는 볼 수 없지만 주요한 것은 완전히 코로나를 통제하는 것이다"고 구체적으로 밝혔다.
따라서 시진핑 주석 방한 문제는 돌고 돌아 결국 코로나19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시 주석이 움직일 수 있는 코로나 통제 수준이 어디까지인지는 알 수 없지만 하루 신규 확진자가 400~500명대를 넘나드는 국내 상황으로는 쉽지 않다.
코로나 상황을 차치하고라도 시 주석의 방한은 시간이 지날수록 어려워질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이 대선 국면에 들어가고 차기 정권의 향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임기가 몇 달 남지 않은 문 대통령을 만나 할 수 있는 얘기가 많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