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 대규모 사업장 집단감염으로 1362명 확진

전국 52곳 1362명 확진…수도권에 33건 발생
3밀 환경에 마스크 미흡한 가운데 동료 통해 감염
남양주 공장, 외국인 근로자 많아 발견 늦은 듯
"2월 11일 이전에 집단감염 존재했을 것이라 추정"
"관리감독, 인원 조정, 외국인 방역수칙 전달 중요"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한 시민이 검체를 제출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올해 들어 공장이나 병원 등 다수의 직원들이 근무하는 사업장을 중심으로 발생한 집단감염을 통해 모두 1362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18일 "의료기관을 포함한 대규모 사업장 관련된 집단발생이 2021년 1월 이후 총 52건에 1362명의 확진자가 발견됐다"며 "수도권이 33건, 63%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환자규모는 건별로 평균 26.1명이며, 발생기간은 평균 10.8일이었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수도권에서는 서울 용산구 순천향대학병원 관련(171명), 경기 남양주시 플라스틱 공장 관련(122명)이 대표적인 사례였고, 충청권에서도 충남 아산시 난방기공장 관련해서 135명이 감염됐다.

방대본에 따르면, 주요 전파 경로는 직장 동료를 통한 감염이었다.


또 방역당국은 △3밀(밀접·밀접·밀폐) 작업환경 및 공용공간 △작업장 내 소음으로 인해 큰소리로 대화하며 비말 발생 △마스크 착용 미흡 등을 집단감염이 발생한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18일 오전 용산구 순천향대 서울병원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일부 작업장의 경우 외국인 직원의 비중이 높아 공동 기숙사 생활을 하며 노출이 더 많이 발생했다.

권 부본부장은 "다수가 모여서 근무하거나 기숙생활 하는 사업장일수록 기본적인 방역수칙의 준수·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방역당국은 남양주시 플라스틱 공장의 경우, 기숙사 외에도 식당이나 화장실 등의 공용공간에서도 환기 등 방역관리가 미흡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특성상 집단감염의 발견 자체도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방대본 곽진 환자관리팀장은 "현재 지표환자의 증상 발생일은 2월 11일로 확인되지만, 전체 환자가 100명이 넘어가는 상황이고, 이 중에는 증상발생일이 더 빠른 분들도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며 "그 이전부터 감염이 해당 집단 내에 존재했을 것으로 보고 발견에 문제가 있던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 "사업주와 관리자는 종사자의 방역수칙을 점검·관리·감독하고, 근무환경 관리를 위한 환기·소독, 공용공간의 이용시간 및 인원 조정, 외국인근로자들에 대한 방역 수칙 전달 등이 필요하다"며 "확진자 증가가 우려되는 만큼 과거 집단발생 사례가 있는 시설을 우선으로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