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는 20일 서울 종로구 대사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 정부와 함께 오염수 방출 전후 과정을 검증하고, 투명하게 공개할 의향에 대해 "모니터링에 관심이 있으면 모든 정보를 공개하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적절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도 강구하고 한국이나 주변국과 협의를 통해서 방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택할 것 같다"면서도 "(주변국이) 실제 모니터링에 어떻게 관여할지 구체적인 방법이 결정되지는 않았다. 성실히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다핵종 제거설비(ALPS)'로 정화한 '처리수'를 원전 부지 내 탱크에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오는 2022년 여름쯤 탱크가 가득 찰 것으로 예상해, 이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대사관 관계자는 "어느 시점에 (방류를) 시작할지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2022년에는 (탱크가) 채워지고 어려운 상황이 된다"며 "2022년 여름쯤을 상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오염수를 정화해도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는 제거할 수 없지만, 방사선의 영향은 과학적으로 안전한 기준 이하일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그는 "한국의 염려는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그래서 이런 기회도 마련했다"며 "우리도 일본 국민이 있고 국민의 건강이나 생명에 해로운 방법을 택할 리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환경단체 등에서 처리된 오염수의 안전성을 의심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순히 끝까지 믿을 수 없다는 프레임으로만 하면 우리가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답했다.
방류 전 주변국 동의를 얻지 않으면 유엔 해양법협약 등 국제법에 위반된다는 일각의 지적에는 "위반되지 않는다"며 "국제관행상 발전 과정에서 나오는 물은 해양 방출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다. (한국의) 월성 원전에서도 해양 방출하고 있다"고도 답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주장과는 달리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월성 원전에서 나오는 배출수와 대규모 방사능 누출 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