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백악관 언론 브리핑에서 G7 정상회의 개최 시점을 묻는 질문에 "G7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은 올해 G7 의장국이다.
그는 지난 5월 G7은 낡은 방식이라면서 한국과 러시아, 인도, 호주 등을 추가한 G11이나 G12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일본 등 일부 회원국들이 부정적 반응을 보였지만 러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초청 대상국들은 국력 신장의 호기로 보고 적극적인 참여 입장을 밝혀왔다.
하지만 G7 회의가 미국 대선 뒤로 밀리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G7 개편 논의 자체가 없던 일이 될 수도 있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한다면 그 후임자가 굳이 이를 승계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에 해당 국가들을 미리 초청해놓은 상태라면 어떤 식으로든 회의는 열리겠지만 동력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하이코 마스 독일 외교장관은 10일(현지시간) 베를린을 방문한 강경화 외교장관과 '제2차 한독 외교장관 전략대화'를 가진 뒤 기자회견에서 이런 입장을 밝혔다.
마스 장관은 "올해 가을 G7 정상회의가 개최될 경우 한국의 참석을 환영한다"면서 "한국은 국제적으로 중요한 국가"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최근 현지 언론 인터뷰에선 "G7과 G20은 합리적으로 조직된 체제"라며 "지금은 G11이나 G12가 필요하지 않다"고 밝혀 G7 확대를 반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강 장관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반년 만에 해외출장을 재개하며 첫 행보로 독일을 택한 것도 이런 배경이 깔린 것으로 해석됐다.
다만 마스 장관의 발언에는 다소 애매한 부분이 있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옵저버' 자격의 '참석'을 환영한다는 의미일 수 있기 때문이다. G7 회의에 비회원국이 옵저버로 참석하는 것은 흔한 일이며 우리나라도 2008년에 경험한 바 있다.
마스 장관이 불과 얼마 전까지 G11이나 G12 필요성을 반대했던 사실을 감안해도 강 장관을 만나 갑자기 입장을 바꿨다고 단정하긴 쉽지 않다.
그는 또 G7 확대와 G20 체제에 대해 국제사회에서 심층적인 토론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독일 외교부가 홈페이지에 이번 양국 외교장관 전략대화 결과를 게재하며 우리 측 발표와 달리 G7 문제는 아예 언급하지 않은 것도 뭔가 자연스럽지 않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독일 측 입장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질문에 "관련 질문에 대해서 우리 외교장관께서 하신 말씀도 있다. 거기에 다 답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을 한다"고 답변했다.
강 장관은 "한국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모범을 보여줬고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며 "G7 자체를 확대하는 문제는 마스 장관의 말대로 국제사회의 논의 틀 속에서 논의를 거쳐 진전을 이뤄야 하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적 수사의 특성을 감안해도 명확한 답을 찾기 쉽지 않은 발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