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반 토막’ 중소기업 임금…대·중소기업 격차는 요지부동?

“지나친 임금 격차, 양극화 심화…정부와 민간 함께 지혜 모아야”

‘2018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인포그래픽(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8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는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소득 분배 상황과 관련해 일부 긍정적인 신호를 나타냈다.

먼저, 전체 임금근로자 중 ‘중위소득의 50% 미만’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세하게나마 감소한 것을 들 수 있다.

임금근로자들을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값인 중위소득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근로자들은 통상 ‘빈곤층’으로 분류된다.

2018년도 중위소득이 월 220만 원이니 한 달 소득이 110만 원도 되지 않은 임금근로자들이다.

중위소득 50% 미만 근로자 비중은 2016년 20.3%에서 2017년 20.8%로 증가했는데 2018년에 20.4%로 떨어졌다.

아울러 ‘중위소득의 150% 이상’, 2018년 기준 월 330만 원 이상 ‘고소득자’ 비중도 30.6%로 2017년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대신 ‘중간층’인 ‘중위소득의 50% 이상~150% 미만’ 근로자 비중은 2017년보다 1.2%포인트나 증가한 49%를 기록했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통계청 박진우 행정통계과장은 “소득 분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남녀 성별 임금 격차도 2017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경우 여성근로자 평균소득은 월 213만 원으로 남성근로자 평균소득 337만 원의 63.2%였다.

그런데 2018년은 여성근로자 평균소득이 2017년보다 5.5% 상승한 225만 원으로 남성근로자 평균소득 347만 원의 65%에 육박했다.

반면, 대기업 근로자와 중소기업 근로자 간 지나친 임금 격차 문제는 고착 상태로 빠져드는 모습이다.

2018년 중소기업 근로자 월평균소득은 231만 원으로 대기업 근로자 501만 원의 46.1%에 불과했다.

2016년 통계청이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시계열 집계를 시작한 이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근로자 평균소득 비율은 줄곧 50% 아래를 맴돌고 있다.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근로자 평균소득 비율은 2016년 44.7%, 2017년 45.7%, 2018년 46.1%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두 집단 간 격차가 배 이상으로 벌어진 마당에 1%포인트 이하 상승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중소기업연구원 노민선 연구위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과도한 임금 격차 지속이 양극화를 심화시켜 불필요한 위화감을 조성하고 사회 갈등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구직자들의 ‘중소기업 기피’ 인식구조를 고착화하는 만큼 정부는 물론 대기업 등 민간이 함께 문제 해결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