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한국개발연구원) 권규호 경제전략연구부 연구위원은 16일 공개한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률 둔화와 장기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0년대 성장률은 지속적 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전제할 경우 연평균 2%대 초중반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가 발전해 나가면서 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되는 게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2010년대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경우 성장률은 1%대 후반까지 하향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우리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6.5%, 3.7% 성장하며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를 단기적으로는 비교적 순탄하게 극복했다"면서 "2012년 이후엔 연평균 3% 수준을 하회하며 2000년대의 4.4%에 비해 비교적 큰 폭으로 둔화됐다"고 평가했다.
취업자 수(노동투입)의 성장기여도는 생산가능인구의 증가율이 둔화됐지만 경제활동참여가 확대되면서 2000년대와 같은 0.8%p를 기록했다. 반면 총요소생산성의 성장기여도는 2000년대 1.6%p에서 2010년대엔 0.7%p로 빠르게 하락했다. 물적자본의 성장기여도 역시 1.9%p에서 1.4%p로 둔화됐다.
1인당 경제성장률은 노동생산성의 기여도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2000년대에 비해 1.4%p 낮은 2.4%를 기록했다. 다만 인구 대비 취업자 비중의 1인당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는 2000년대에 비해 확대됐다.
총요소생산성의 노동생산성에 대한 기여도는 2000년대의 절반 수준인 0.7%p로, 취업자 1인당 물적자본의 기여도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한 0.8%p를 기록했다.
이어 "취업자 수의 성장기여도는 빠른 고령화의 진행으로 크게 둔화될 전망"이라며 "2020년대엔 연평균 0.2%p 정도로 축소되고, 인구 대비 취업자 비중도 크게 확대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끊임없는 혁신으로 생산성 증가세가 확대될 경우 2020년대에 2%대 초중반의 성장률도 가능하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다.
권 위원은 "성장률이 둔화되는 현상이 구조적이라면 단기적 경기부양을 목표로 확장적인 재정정책을 장기간 반복적으로 시행할 경우엔 중⋅장기적으로 재정 부담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