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현재 서울지하철 역사 숫자는 328개다. 이 가운데 엘리베이터가 1개라도 설치된 역사숫자는 90.6%. 지상역사를 제외하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하철역 숫자는 26개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지하철역사에서 이동에 가장 곤란을 겪는 사람들은 신체장애인이나 임산부,노약자,병약자 등이다. 서울시는 이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올해 5호선 광화문역과 8호선 수진역에 올해 엘리베이터를 시공하고 2023년까지 미설치 26개 역에 엘리베이터 설치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교통약자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현재의 바닥이 높은버스를 '저상버스'로 대체하기로 했다. 서울시내 총 버스대수 7천160대 가운데 3천112대(43.5%)만 저상버스인데 이를 2023년까지 100%저상버스로 바꿀 예정이다.
두 정책이 추진될 경우 장애인들의 이동편의는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서울시의 장애인 대중교통 이용현황을 보면, 버스 25.9%, 지하철 20.4%, 도보 38.2%로 버스와 지하철을 이동수단으로 이용하는 사람이 46%를 넘어 정책효과가 클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장애인의 '생활권 보장'에도 대폭적인 시예산 투자가 이뤄진다.
여성 장애인들은 가사노동에 대부분의 시간을 투자하고도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를 감안, 홈헬퍼(home helper)를 보내주고(160명), 중증장애인이 있는 가정에 낮활동 지원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복지관은 10개에 불과하지만 2023년까지 두 배 2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장애인 가구에는 출산비 1백만원을 지원한다.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장애인 학대문제 해결 방안으로 장애인 인권실태조사를 정례화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적장애인을 장기간 노예 처럼 부리며 노동력을 착취하는 이른바 '잠실야구장 현대판 노예'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장애인 시설을 대상으로 시.구.민간 합동 인권실태조사를 연간 1회 진행한다"고 말했다.
장애인 문화생활 방편으로 취약계층 장애인 문화여가활동 전용카드(8만원권) 즉 장애인 문화바우처를 1만명에게 발급해줄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장애인 인권증진 기본계획을 확정 2023년까지 추진하기로 하고 장애인 인권도시 조성에 8천907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