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민족의 자주권 실현을 위한 거족적인 반일 애국 항쟁'이라는 제목의 정세론 해설에서 "3·1 인민봉기는 일제의 식민지 통치 지반을 밑뿌리째 뒤흔들고 우리 인민의 민족적 각성을 더욱 높여주었으며 세계 피압박 인민들의 민족해방 운동에 커다란 고무적 영향을 준 역사적 사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3·1 인민봉기가 일어난 지 한 세기가 흘러 세대가 여러 대나 바뀌었지만, 우리 민족 앞에 저지른 일본의 과거 죄악은 결코 청산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것이 새로운 죄악으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라면서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촉구했다.
조선중앙방송도 이날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주체8(1919)년 3월 1일 조선 민족은 일본 침략자들에게 빼앗긴 나라를 되찾고, 자주독립을 이룩하기 위해 거족적인 반일애국 항쟁을 전개했다"고 방송했다.
방송에 출연한 허명철 김일성종합대 연구사는 "3·1 인민봉기가 있은 때로부터 어느덧 한 세기가 흘렀지만, 예나 지금이나 일본의 침략적인 본성은 조금도 변하지 않았으며 더욱더 악랄해지고 있다"며 "우리 인민은 세기를 이어 쌓이고 쌓인 일제의 역사적인 죄악을 총결산하고 피의 대가를 천백배로 받아내고야 말 것"이라고 일본을 비판했다.
이밖에 메아리, 조선의오늘, 우리민족끼리 등 북한 선전 매체들도 일제히 3·1운동 100주년의 의미를 소개했다.
북한 매체들은 3·1운동이 평양에서 처음 시작됐다고 주장하며, 평양 주민들이 3·1운동에 선봉적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3·1운동의 반 외세적 성격을 부각하며 의미를 두지만, 3월 1일을 국경일이나 공휴일로 지정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