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한미 정상회담 끝난 날, 국정원 팀이 평양으로 달려갔다(조선일보 5월 28일)", "풍계리 갱도 폭파 안해…연막탄 피운 흔적 발견(TV조선 5월 24일)", "북, 미 언론에 '풍계리 폭파' 취재비 1만달러 요구(TV조선 5월 19일)" 등의 기사를 언급하며 "사실이 아닐 뿐만 아니라 비수 같은 위험성을 품고 있는 기사들"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말 한마디로 빚어진 오해와 불신이 커질 수 있다"며 "국정원 2차장이 몰래 평양을 방문했다는 기사를 그대로 믿게 된다면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은 우리 정부의 말을 계속 신뢰할 수 있겠냐, 문재인 대통령은 여전히 정직한 중재자일 수 있겠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풍계리 핵실험장 연막탄 보도와 취재미 1만달러 요구 보도에 대해서는 "보도대로라면 북한은 상종하지 못할 존재"라며 "전 세계를 상대로 사기극을 벌이고 거액을 뜯어내는 나라가 돼버리고 마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만약 북한이 아닌 다른 나라를 이런 방식으로 묘사했다면 당장 법적 외교적 문제에 휘말렸을 것"이라며 "여의도의 정쟁은 격화되고 국민들 사이에 파인 골은 더 깊어진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를 비판하고 견제하는 것은 언론 본연의 자세"라고 말했다. 그러나 "최소한의 사실 확인이 전제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국익과 관련한 일이라면, 더구나 국익을 해칠 위험이 있다면 한번이라도 더 점검하는 게 의무라고 생각한다"며 "연예인 스캔들 기사에도 적용되는 크로스체크가 왜 이토록 중차대한 일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냐?"고 몰아붙였다.
그는 "우리 언론에게 북한은 '사실 보도'라는 기본원칙이 매우 자주 그리고 아주 오랫동안 지켜지지 않던 보도영역이었다"며 "정보의 특수성 때문에 오보로 확인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데다 거짓임이 드러나더라도 북한이 법적 조처를 취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말미에 조선일보가 박근혜 정부 시절이던 2014년 새해, '통일은 미래다'라는 기획 보도를 했던 것으로 언급하면서 "그때 조선일보가 말한 '미래'와 지금 우리 앞에 성큼 다가와 있는 '미래'가 어떻게 다른지 도저히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는 "70년 만에 맞는 기회, 이번에 놓치면 다시 70년을 더 기다려야 할지 모른다"며 "이제 그만 잡고 있는 발목을 놓아주시기 바란다. 어렵게 어렵게 떼고 있는 걸음이 무겁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