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론화위원회가 20일 공개한 공론조사에 따르면 건설재개는 59.5%, 건설 중단은 40.5%로 나타나, 건설재개가 중단 응답보다 19%p나 높았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로 산출된 ±3.6%p를 크게 상회하는 격차이다.
공론화위는 그동안 모두 4차례의 설문조사를 했는데, 2만 6명을 상대로 한 1차 조사 때에는 사실 이렇게 까지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건설 재개가 36.6%, 건설 중단이 27.6%, '아직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항과 '잘 모르겠다'는 문항을 합친 판단 유보가 35.8%였다. 건설재개와 중단 간의 차이는 9%p에 불과했고, '판단 유보' 입장이 3분의 1을 넘게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조사를 거듭할수록 상황이 변했다. 자료집 학습 등 시민참여단을 대상으로 한 3차 조사의 경우 건설 재개가 44.7%, 건설 중단이 30.7%, 판단 유보가 24.6%로 나타났다.
1차 조사에 비해 판단 유보의 입장이 11.2%p 감소한 반면 건설 재개가 8.1%p, 건설 중단이 3.1%p증가했다. 판단 유보 입장이 건설 재개로 이동하는 모습이 뚜렷이 나타난 것이다.

판단 유보 문항을 빼고 건설 재개와 건설 중단의 양자택일을 묻는 질문으로는 건설재개 59.5%, 건설 중단 40.5%로 더 큰 차이가 발생했다.
김지형 공론화위원장은 "조사회차를 거듭할수록 건설재개 비율이 높아졌다"며, "모든 연령대에서 조사회차를 거듭할수록 건설재개의 비율이 증가했다. 특히 20대, 30대의 경우 증가 폭이 더 컸다"고 설명했다.
이런 입장 변화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라는 요인만이 아니라 신고리 원전 건설에 이미 1조 6천억 원이 투입돼 29.5% 공정율을 보이고 있다는 현실적인 측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