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미 재무장관. 연합뉴스각국과의 관세 및 무역 협상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상호관세 유예 기간(7월 8일)이 종료되면 미국과 합의를 하지 않은 나라들은 기존에 책정한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무역 상대국들이 결승선 통과를 앞두고 있는데, 유예 기간을 더 연장하겠다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모든 나라들은 최선의 합의를 얻기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리겠지만, 그렇게 하다가 4월 2일 책정한 상호관세율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한다"고도 했다.
상호관세 유예 연장 여부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으면서, 각국에 미국과의 무역 합의를 서두르라는 의미인 셈이다.
베선트 장관은 또한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끝나기 전 여러 나라들과의 무역합의를 발표하길 기대한다"면서 "약 100개국이 최저치인 10%의 상호관세를 적용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약 200개국에 달하는 미국의 무역상대국 중 비중이 높지 않은 절반 가량에 대해서는 기본관세 10%를 적용하고, 그 이외 국가에 대해서는 10%를 상회하는 상호관세율을 적용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10%는 미국이 지난 4월 모든 무역상대국에게 부과한 기본 관세율이다.
당시 한국은 기본관세 10%에 국가별로 차등 부과된 관세율 15%를 더해 25%의 상호관세율이 책정됐다.
베트남의 경우 44%의 상호관세가 부과됐지만 전날 미·베트남 무역 합의를 이끌어내면서 상호관세율이 20%로 대폭 하향 조정된 바 있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지난달 11일 미 하원 세입위 청문회에 출석해서는 "성실하게 협상한 나라에 대해서 상호 관세 유예 연장이 가능할 것이리고 믿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이날 베선트 장관은 "각국이 선의로 대미 협상에 임하는지 여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연장과 관련해 "유예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을 피력하기도 했다.
한편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최근 "감세법안이 미 의회를 통과하는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율 결정이 임박했음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