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몸인데…" 광주 우체국 집배원에 '출근 강요' 했나

유가족 "성치않은데 출근 강요"…우체국 "원하면 더 쉴 수 있었다" 주장 엇갈려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업무 중 교통사고를 당해 병가 중이던 우체국 집배원이 업무 복귀를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운데 우체국 측이 출근을 강요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우체국 집배원 이 모(53) 씨는 지난 5일 오후 5시쯤 광주시 서구 한 빌라에서 직장 동료에 의해 숨진 채 발견됐다.

이 씨의 옆에는 불에 탄 번개탄과 함께 "두렵다. 이 아픈 몸 이끌고 출근하라네. 사람 취급 안 하네. 가족들 미안해."라는 내용의 유서가 있었다.

이 씨는 지난달 11일 우편물 배달을 하다 중앙선을 침범한 차량과 부딪혀 넘어지면서 차량과 오토바이에 신체 일부가 깔리는 사고를 당했다.

우체국 노조와 유가족들은 이 씨가 일할 수 있는 몸 상태가 아니었음에도 우체국 측에서 출근을 강요했다는 입장이다.


7일 오후 2시 광주시 서구 서광주우체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씨 유가족은 "우체국은 아버지가 사고를 당한 이후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해주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몸이 성치 않은 상황임에도 출근을 강요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우체국 측은 "이 씨가 원했다면 최대 6개월을 쉬고 출근할 수 있었다"며 "이런 내용에 대해 이 씨와 직접 만나 전달했다"라고 말해 노조의 주장과 정반대 입장을 밝혔다.

다만 "평소 이 씨가 업무에 대해 받았던 부담감과 스트레스에 대해 충분히 신경 쓰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깝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이 씨가 출근을 강요당했다는 주장과 그런 사실은 없었다는 우체국 측의 주장이 엇갈리면서 이 씨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공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집배원 사망사고는 최근 5년간 78건 발생했으며 올해는 자살·교통사고·심혈관 질환 등으로 15명의 집배원이 숨졌다.

우정사업본부는 우체국 집배원들의 근무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 282명을 증원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