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조치가 본격화됐던 지난 3월 이후 중국에 진출한 롯데마트 점포 99곳 가운데 87곳이 영업중단 조치로 문을 닫았다. 나머지 매장도 한국에 대한 악화된 감정 탓에 매출이 4분의 1 토막 났다.
특히 최근 북한의 ICBM 시험발사로 한반도 안보환경이 급속이 얼어붙고 우리 정부가 사드발사대 4기를 추가 임시 배치하기로 하면서 한-중 관계는 더욱 악화될 처지에 놓였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4일 "만일 사태가 장기화된다면 일정에 맞춰서 추가 수혈을 하긴 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일정과 액수, 방법은 아직 결정된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롯데측은 이달 말로 예정된 한중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중국내 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전망한 뒤 추가지원 규모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드배치 파문의 직격탄을 맞은 롯데로선 중국의 보복이 안겨줄 한계상황을 근본적으로 고민해야 할 시점에 내몰리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피해규모는 천문학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내 롯데마트 점포가 영업정지나 불매운동으로 매출을 거의 올리지 못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현지 종업원 임금이나 매장 임차료 등은 매달 900억원 이상 꼬박꼬박 나가고 있다. 지금까지 본 손실만 5천억원대이고 사태가 연말까지 장기화된다면 피해규모는 1조원대에 이를게 불을 보듯 뻔하다.
게다가 중국인 관광객의 감소로 인한 국내 호텔과 면세점 매출까지 포함하면 그룹 전체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밑빠진 독에 물붓듯 긴급운영자금을 계속 추가 수혈하는 데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중국에 진출한 사업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보니 롯데마트만 빠질 수도 없는 상황이라 깊은 고민에 빠진 것이다.
롯데측이 한중 정상회담에 기대를 건다 하더라도 북한의 잇따른 ICBM 도발로 인해 상황을 획기적으로 되돌릴 계기가 마련되긴 당분간 어렵기 때문에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그래서 등장하는게 중국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불가피론이다.
롯데그룹 내에서는 "중국사업에 대한 전면 철수는 사업구조상 불가능하겠지만 중국측의 보복에 피해만 볼 수도 없는거고 중국내에서 22개 계열사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포트폴리오 조정이나 부진한 사업의 일부 정리는 이제 심각하게 검토해야 할 단계"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형국이다.
경제보복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롯데가 보복으로 사업을 축소하면 부메랑은 중국 내 일자리 감소로 되돌려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