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작된 증거 활용 정치적 책임져야
- 신뢰 위기, 당 존폐까지 걱정되는
- 당내 혁신의 긴장감 소명감 부족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태일(국민의당 혁신위원장)
◆ 김태일> 네,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제보가 조작됐다면 그것도 잘못이지만 문준용 씨의 채용 비리 자체의 문제에 대해서도 철저히 조사가 돼야 되기 때문에 특검에서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 이게 어제 박지원 당시 대표, 이 사건이 일어났던 그 당시 대표의 말이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김태일> 채용 비리 의혹이 현재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하더라도 현재 시점에서 특검하자, 이렇게 하는 것은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왜냐하면 비상대책위원장이 이 문제가 불거졌을 때 즉각적으로 사과를 하지 않았습니까?
◇ 김현정> 네네.
◆ 김태일> 특히 당사자인 문 대통령과 그 아들에게 사과를 했는데요. 그런데 너도 그러면 잘못한 거 차제에 밝혀보자 이런 식으로 나오게 되면 그 사과의 진정성이 의심을 받기 시작하게 되는 거죠. 여의도 정치의 상투적인 '물타기'가 아닌가 이렇게 생각할 가능성이 많아요. 실제로도 그런 반응들이 많이 있고.
◇ 김현정>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당이 지금 심각하다는, 위기란 이런 생각들을 많이들 못하고 있는 상황인가요?
◇ 김현정> 그랬습니다.
◆ 김태일> 그 때 역시 당이 처한 위기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아주 결연하게 대응한 사례인데요. 지금 이 상태가 그때 그 한나라당이나 열린우리당이 직면했던 문제보다 가벼운 것이냐? 그렇지 않다고 보거든요.
◇ 김현정> 한나라당이 천막당사로 달려가야 됐을 그 정도 수준과 지금 다르지 않은데?
◆ 김태일> 네, 그런데 지금 현재 당의 대응방안은 사과하는 것까지는 잘하기는 했지만 그것만으로 되느냐 하는 것이죠. 그리고 현재 이유미 씨 개인에 대한 법적 책임 문제로 문제를 계속 가두려고 하는 그런 자세는 온당하지 않다고 보는 거예요. 조작을 알았느냐 몰랐느냐 어느 선까지 책임이 있느냐 이런 얘기로만 빙빙 도는 것 같아요. 그것은 검찰이 할 일 아닙니까?
◇ 김현정> 알겠습니다. 지금 정치적인 책임을 즉각적으로 지고 한나라당이 천막당사로 달려갔듯이 과거에 열린우리당이 청과물시장 달려갔듯이 해도 모자랄 판인데 너무 안이하다 이런 말씀. 그러면 정치적 책임은 어떻게 져야 한다고 보세요? 어떤 방법?
◆ 김태일> 현재는 조작된 증거를 가지고 선거 과정에 활용을 하지 않았습니까? 그 활용을 했던 책임자들에 대해서 뭔가 책임을 밝혀야 되죠.
◇ 김현정> 그분들은 나는 몰랐다 하는데도요?
◇ 김현정> 그 부분에서 말이죠. 당시 후보였던 그러니까 이 조작이 결국은 안철수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조작이었고 정점에는 안철수 후보가 있지 않았느냐. 설사 몰랐더라도 안철수 후보가 나서서 사과를 해야 한다. 뭔가 액션을 취할 때지 이렇게 가만히 계실 때는 아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 김태일> 저는 개인적으로 안철수 후보가 빨리 이 문제에 대해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봅니다. 현재 이유미라는 당사자와 또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 특별한 관계가 안철수 전 후보와 있다고 하지만, 그런 관계 때문이 아니라 후보가 최종적 책임을 지는 선거과정에서 일어났던 일 아니겠습니까?
◇ 김현정> 그렇죠.
◆ 김태일> 그리고 이것은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하는 아주 중차대한 문제이고요. 그런 측면에서 전 후보가 빨리 이것을 코멘트하고 정리를 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 김현정> 코멘트라 함은 사과를 말씀하시는 거겠죠?
◆ 김태일> 그렇습니다. 잘한 일이 아니지 않습니까?
◇ 김현정> 알겠습니다. 지금 이게 위기 정도를 계속해서 경고하고 계시는데 이렇게 계속 가다가 당의 존폐까지 고민해야 될 그 정도 수준이라고 보세요?
◆ 김태일> 왜냐하면 당이 민심을 먹고 사는데요. 신뢰의 위기에 직면하지 않았습니까? 다른 여러 가지 위기가 있지만 신뢰가 없는 정당이 어떻게 존립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이 문제를 중차대하게 여겨야 할 텐데 어제 있었던 의원총회에서도 특검 문제에 대해서 서로 설왕설래하는 수준이라고 얘기를 들었어요. 물론 특검을 채택하지는 않아서 저는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만.
◇ 김현정> 당론으로 채택하거나 그런 상황은 아닙니다.
◆ 김태일> 네네. 그래서 당 내부가 여전히 이 문제를 좀 안이하게 보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게 제 인상입니다.
◇ 김현정> 이제 책임을 져야 한다, 법적 책임 외에 정치적 책임이 우선이다는 말씀을 지금 계속 하셨는데 법적 책임 부분도 그래요. 그러니까 대체 어느 선까지 누구까지 기획에 참여했느냐 이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이유미라는 평당원 그리고 이준서라는 직함은 최고위원이었지만 사실상 존재감은 미미했다고 당원들은 말하는. 그 두 사람이 이 정도 사건을 벌일 수 있는가 그것도 대선 4일 전 아주 중요한 시점에. 그러다 보니까 이게 더 윗선 혹은 선거 전문가가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거든요. 어떻게 보세요?
◆ 김태일> 저는 이 문제를 이렇게 봐요. 정당이라고 하는 것이 온갖 욕망의 덩어리들이 몰려드는 곳이잖아요.
◇ 김현정> 욕망의 덩어리들?
◆ 김태일> 그렇습니다.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온갖 욕망의 찌꺼기들이 다 함께 모이게 되는데요. 다른 당의 경우에서도 보면 이런 것을 거르는 장치들이 있어요. 서로 견제하고 감독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서 정당에 접근하는 별별 사람들을 잘 걸러내고 마지막으로 의사결정을 제대로 하는 그런 장치들이 있는데 국민의당은 창당한 이후로 돌아서서 총선 치르고 또 돌아서서 대선 치르고 이러느라고 이런 장치들을 갖지 못했던 것 같아요.
◇ 김현정> 내부 검증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았었다?
◆ 김태일> 그렇습니다. 어제 이 문제에 대한 1차적 책임이 있는, 정치적 책임입니다만. 이용주 의원이 과정에 대해서 쭉 설명을 했어요.
◇ 김현정> 공명선거추진단장이셨던가요, 그때 직함이?
◆ 김태일> 그렇습니다. 그런데 자기도 몰랐다고 하는 거죠. 속았다는 얘기죠. 그런데 그걸 객관적으로 얘기하면 시스템에 문제가 있고, 역량에 문제가 있는 거예요. 그래서 이런 점들을 갖추지 못하면 국민의당이 존립하기 어려운 것 같고요. 그 다음에 지난 선거가 역시 이런 이유 때문에 후보 개인 중심으로 치러진 것이 너무나 명백해요. 안철수 후보 개인 중심으로 시스템이, 선거대책기구들이 짜지고 후보 개인 중심의 어떤 선거대책 운영이 드러났던 것 같아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시스템으로 굴러가지 못했던 공당으로서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선거가 치러지면서 이런 헛점들이 드러났다? 정말 이게 참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가는 게 어제 이용주 위원장도 설명을 하셨지만 회의 자리에서 이 제보를 가져왔을 때 미심쩍다는 얘기들이 있었다는 거예요. 그러면 쉽게 말해서 그 학교에다가 파슨스스쿨에다가 이런 사람이 있었냐고 전화 한 통만 했어도 크로스체킹이 됐을 텐데 결국 그걸 한 사람이 없었다는 얘기 아닙니까?
◆ 김태일> 눈에 뭐 씌웠다는 얘기 있지 않습니까?
◇ 김현정> 있죠.
◆ 김태일> 아마 선거 막판에 떨어진 지지율을 반전시켜야 되겠다고 하는 그 욕심. 개별 몇몇 사람들의 공명심, 허영심 이런 것들이 함께 결합해서 최악의 결과를 만든 것 같아요.
◇ 김현정> 이제 당이 혁신을 해야죠. 혁신을 해야 될 텐데. 혁신을 할 내부 동력은 있다고 생각하세요?
◇ 김현정> 당의 지도자급에서 이 혁신을 이끌 사람이 없다? 그분들이 이끄셔야 되는 분들인데?
◆ 김태일> 혁신의 동력이 그닥 보이지 않아요. 왜냐하면 선거가 아직 저만치 있거든요. 다만 내년도에 지방선거가 있다고 하는 점, 그리고 국민의당을 만들어준 것은 국민의 뜻이지 않습니까? 다당제를 실현하라, 이것이 역사적인 진보이다, 이런 국민의 명령이 있다고 하는 점 이런 점들이 혁신의 동력이긴 한데. 당사자들은 아직도 그런 부분에 대해서 어떤 긴장감이나 소명감이나 이런 것이 아주 부족한 것 같아요.
◇ 김현정> 아주 부족하다?
◆ 김태일> 그래서 저는 혁신의 동력을 당원과 지지자들로부터 만들어야 되겠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런 일이 터지니까 이제는 당원이나 지지자들도 힘이 빠지지 않겠나 싶어서 굉장히 걱정스럽습니다.
◇ 김현정> 당의 존폐까지 고민해야 될 정도라는 외부에서 들어간 혁신위원장의 이 말, 사실은 당 내부에서 굉장히 뼈아프게 새겨들어야 될 지점 같습니다. 지켜보겠습니다. 김태일 위원장님 고맙습니다.
◆ 김태일>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국민의당 혁신위원장입니다. 김태일 위원장이었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