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자산 급증…지가상승률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

토지자산 비중
지난해 한국 국민순자산 가운데 유독 토지자산이 크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한국 국민순자산은 전년대비 715조원 증가한 1경 3078조원으로 추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5.8% 늘어난 수치로, 국내총생산(GDP) 1637조 4천억원의 8배에 달한다.

이러한 증가세에 대해 통계청은 토지자산을 중심으로 비생산자산의 증가폭이 확대되고, 대외투자 중 외국인투자를 제외한 '순대외투자'의 규모도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자산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비금융자산은 1경 2741조 4천억원을 기록했고 금융자산은 1경 4277조 7천억원이었다. 또 금융자산 중 금융부채 1경 3941조 1천억원을 제외한 순금융자산은 336조 6천억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비금융자산을 자산형태별로 보면 생산자산이 5712조 7천억원 으로 전년대비 3.7% 늘어난 반면, 비생산자산은 7028조 7천억원으로 생산자산보다 2배 가량 높은 6.3%나 늘어났다.

토지자산 규모 및 증감률
비생산자산의 증가세를 견인한 것이 바로 토지자산으로 6.2%나 치솟았다.


비생산자산 가운데 지하자원 역시 18.4%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증감액 자체는 3조 7천억원에 그쳐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다. 비생산자산의 증가액 규모는 414조 2천억원인데, 이중 409조 8천억원이 토지자산에서 늘어났다.

토지자산이 비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7년 57.1%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보이며 53%대로 줄었지만, 2014년부터 완만히 상승해 지난해에는 54.8%를 기록했다.

명목가액을 연쇄실질가액으로 나눠 계산하는 가격상승률을 살펴보면, 비생산자산의 가격상승률은 2007년 13.2%에서 2008년 1.2%로 크게 낮아지기도 했다.

하지만 2014년 이후부터는 지가상승률이 2%대로 치솟으면서 2016년에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4.6%를 기록했다.

이처럼 2014년 무렵부터 토지자산이 급증한 이유로는 혁신도시와 제주도, 세종시 개발 등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2015년말 기준 1747조 9천억원으로 전체 토지자산의 26.6%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 1700조 8천억원(25.9%), 경남 391조 3천억원(6.0%), 경북 341조 6천억원 (5.2%), 인천 329조 4천억원(5.0%) 순이었다.

증가율로 살펴보면 제주의 토지자산 증가율이 26.0%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세종 (24.3%), 대구(12.6%), 부산(9.9%) 등이 크게 늘었다.

다만 이처럼 세종시와 지방 혁신도시 개발로 토지자산의 수도권 집중도는 완화되서, 수도권 지역의 토지자산 비중은 2010년 61.4%에서 2015년 57.5%로 낮아졌다.

토지자산 증가 추세에서도 2015년 수도권 이외 지역 토지자산 증가율은 8.6%로 국 평균 토지자산 증가율(5.8%)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수도권은 3.8%에 그쳤다.

반면 생산자산중 건설자산은 3.5%, 설비자산은 5.5%, 지식재산생산물은 5.0% 증가하는 데 그쳤다.

또 생산자산의 가격상승률도 2016년 0.5%로 2013년 이후 낮은 수준을 지속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