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연설'에 왜 국민들은 귀기울일까

"비상식 몰아낸 '상식의 힘' 확인하는 치유 과정"

문재인 대통령(사진=자료사진/사진공동취재단)
"대통령 연설 듣다 이렇게 울다니…,"(트위터 사용자 @C*****), "살다 살다 현충일 추념식 집중해서 끝까지 보기는 또 처음이네요."(@y******)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이후 맞이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현충일 추념식 등에서 벌인 연설을 두고, "감동했다"는 국민들의 반응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진심' '공감' '치유' '통합'과 같은 단어는 문 대통령의 연설에 대한 누리꾼들의 평에 어김없이 따라붙는다.

국민들은 왜 문 대통령의 연설에 귀기울일까. 사회 심리·갈등을 연구하는 고려대 사회학과 윤인진 교수는 "비상식을 몰아낸 '상식의 힘'을 확인하는 치유의 과정"이라고 진단했다.


"지난 정권에서 만연했던 비상식이 상식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점을 대통령의 말에서 확인하고 싶은 바람이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많은 국민들이 느끼기에는 지극히 당연한 일들이 이전 정부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은 채 상당히 억지 비슷하게, 편향된 비상식이 오히려 상식을 오히려 압도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말은 결국 그 사람의 인식을 의미한다. 결국 문 대통령의 연설은 그분이 지닌 세계관, 정의관, 인간관인 셈이다. 그러한 인식이 성명이나 담화문에 반영되는 것인데, 지극히 상식적인 대통령의 인식에 많은 국민들이 공감하는 것이다."

윤 교수는 "대통령의 권위는 국민들이 위임한 공적인 것"이라며 "지난 정권은 그것을 마치 사적인 것처럼 쓰고, 형식이 오히려 본질을 압도하는 거꾸로 된 상황을 빚어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언행을 통해) 탈형식적이고, 본질을 보다 중시하려는 문 대통령의 모습이 국민들의 눈에는 새삼스레 참심함으로 다가오는 듯하다"며 "권위는 강요될 때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우러나올 때 힘을 갖는다. 이제는 올바른 권위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에 국민들이 공감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 점에서 지난 6일 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는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며 말을 이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애국'이라는 말은 보수 측에서 하나의 정략적 개념으로 사용해 왔다. 그 영향으로 진보 쪽에서는 이 말을 기피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문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애국이라는 것이 보수나 진보 구분 없이 통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결국 진보 진영에서 상대적으로 편협했다고 할 수 있는 '애국'이라는 영역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 "올바른 공론 만들고 확산시키는 시민사회·언론 역할 어느 때보다 중요"

"애국도 따지고 보면 어느 한쪽이 독점하거나, 다른 쪽이 방관해야 할 성격의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간 편가르기로 인해 흔히 말하는 '진영논리'에 머물렀던 것이 사실"이라고 윤 교수는 꼬집었다.

"(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는) 이 부분을 과감하게 타파하고 진정한 국민 통합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것도 지극히 상식적인 것인데, 오랜 관행으로 인해 서로에게 다가가지 못했다. 결국 문 대통령의 연설은 그러한 간격을 좁힌, (애국으로 보수와 진보) 둘 사이를 연결짓고 통합하려는 시도다. 이러한 메시지가 대통령의 말로 연이어 나오면서 한국 사회의 적폐라고도 볼 수 있는, 권력·제도 차원에서의 적폐뿐 아니라 우리네 머릿속, 가슴속에 있던 수많은 간극과 골을 메우고 치유해 가는 것이다."

문 대통령이 말을 통해 절반의 치유를 이뤄냈다면, 나머지 절반은 실천을 통해 완성될 것이다. 윤 교수는 "대의를 향한 공감에 바탕을 둔 야당의 협조는 물론 시민사회·언론의 지지"를 당부했다.

"정치는 혼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결국 항상 반대하는 파트너가 있기 마련이다. 파트너의 협조를 이끌어내야만 실질적인 제도를 만들어 실천할 수 있다. 지금 문 대통령 개인의 지지도는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자유한국당의 경우 어떻게 해서든 대통령을 흠집내고 여당의 인기를 가라앉히려는 정치적인 욕구를 드러내고 있다. 그것이 지금 인사청문회, 추경예산 부분에서 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본질적인 이유로 반대하기 보다는 자기 당의 존립기반을 확보하려는 차원에서 반대하는 측면이 강하다. 이렇게 억지를 쓰게 되면, 아무리 대통령 본인이 진정성을 갖고 노력한다 해도 상대가 다른 동기를 갖고 있으면 실천은 어렵다."

그는 "이러한 상황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야당도 필요한 부분에 협조하게끔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결국 정치적 해법을 내놔야 할 텐데,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2보 전진을 위해 1보 후퇴하는 방식으로 야당의 요구를 일정 부분 들어 주는 식으로 정치력을 발휘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국민 여론을 등에 지고 야당을 명분으로 압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을 여당에서 하면 정치공작으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시민사회, 언론의 역할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나라를 위한 것이라고 하면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해야 하는 것이다. '한번 해봐라'라는 식으로 방관해서는 애써 이룩한 정권 교체가 무의미해질 수도 있다. 올바른 공론을 만들고 확산시키는 시민사회와 언론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국면이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