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줄서던 시민들, 혈액은 남아 돌았다
- 병원에까지 기관단총 발포
- 광주만의 아픔일 땐, 2차 피해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정성수(전남대병원 교수, 5·18 당시 응급실 인턴)
◆ 정성수>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지금은 전대 의대 교수신 거죠?
◆ 정성수>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1980년 그때는 뭘로 근무하셨습니까?
◆ 정성수> 80년 5월 1일부터 전남대학교 병원 응급 인턴으로 근무하는데 제 스케줄이 5월 3일부터 6주간을 응급실을 담당하게 스케줄이 짜 있었습니다.
◇ 김현정> 응급실에서 인턴으로. 5월 1일부터 시작했으니까 그야말로 새내기 인턴이었네요.
◆ 정성수> 네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자, 37년 전인 1980년 5월 18일 그날 아침으로 한번 돌아가 보겠습니다. 그날 전남대 앞에서는 전두환 정권의 계엄령 철폐를 요구하는 시위가 한창 벌어졌는데 그때 선생님은 그때도 응급실에 계셨던 거잖아요? 학교 병원.
◆ 정성수>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어떤 일이, 어떤 일이 벌어진 겁니까, 병원에서?
◆ 정성수> 18일 아침부터 곤봉에 맞아가지고 구타된 환자들이 오기 시작합니다. 조금 있다가는 총에… (당시) 착검을 한 상태였거든요. 그래서 진압하려고 저희들이 달려들면 시민들이 물러날 거 아닙니까? 남자들은 좀 걸음이 빠르고 여학생들은 걸음이 좀 늦기 때문에 여학생들이 주로 등이 찔려가지고 오기 시작합니다.
◇ 김현정> 등이 찔려서? 그럼 도망가는 사람을 찔렀다는 얘기잖아요, 뒤를?
◇ 김현정> 전쟁 상태? 발포가 시작된 5월 19일부터. 응급실에 환자가 수도 없이 몰려들었다면서요?
◆ 정성수> 의식이 없는 환자들이 굉장히 많이 옵니다. 그런데 누구인지도 모르고.
◇ 김현정> 의식이 없으니까.
◆ 정성수> 네네. 그래서 학동에서 발견됐다면 '학동남1', 검정색 티를 입고 있었으면 '검정티1', 그런 식으로 의무 기록을 해 왔고요. 또 환자도 워낙 많기 때문에 원무과 앞에 접수대에는 보통 넓지 않습니까? 거기서 치료를 하게 됩니다. 야전병원 그 상황이었죠.
◇ 김현정> 전쟁통. 그중에서도 개인적으로 제일 기억에 남는 환자. 누구였을까요?
◆ 정성수> 너무 비참한 상황인데. 어떤 한 분이 트럭에다가 자기 부인하고 아기하고 싣고 왔더라고요. 제 기억으로는 부인이 총에 맞아 죽고 아들이 다친 걸로 기억을 하고 있는데.
◇ 김현정> 아니, 데리고 왔는데. 태워가지고 왔는데 이미 사망한 상태였어요?
◆ 정성수> 네네. 어떻게 됐냐고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처갓집이 담양이랍니다. 그래서 자기 차를 몰고 담양 처갓집으로 가려고.
◇ 김현정> 피신하려고 하는데.
◆ 정성수> 네네. 갔는데 중계선에서 육군 대위랍니다. 안 됩니다. 다시 돌아가십시오. 그래서 차를 돌려가지고 막 출발하려는데 뒤에서 그대로 총을 쏴버려서.
◇ 김현정> 아니, 가지 말라고. 여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해서 차를 돌리는데 왜 돌리는 차한테 대고 발포를 했답니까?
◆ 정성수> 철천지 원수 대하듯이 무차별 사격이거든요. 그 건만 아니고 수없이 많은 일들이 생겼기 때문에요.
◇ 김현정> 수없이 많은… 맞아요. 그런데 환자들이 그렇게 쉴 틈 없이 몰려들면 그것도 중상 환자들이 쉴 틈 없이 몰려들면 장소뿐 아니라 인력도 약품도 굉장히 부족했겠는데요.
◆ 정성수> 가장 힘들었던 것이 수액이었습니다.
◇ 김현정> 수액?
◆ 정성수> 우리가 보통 말하는 링거라고 많이 하지 않습니까?
◇ 김현정> 일단 환자가 가면 그것부터 꼽잖아요.
◆ 정성수> 그런데 광주 외곽이 전부 차단이 돼버리니까 약품이 공급이 안 돼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갑자기 많은 물량의 수액이 내려와요, 응급실로. 그래서 '이 수액이 어디서 왔다냐' 그랬더니 입원해 있던 환자. 그 환자들이 자기는 이제 못 맞겠다. 총 맞아서 오고 다친 시민들 주라 해가지고 그 플로이드가 한꺼번에 다 내려오게 됩니다.
◇ 김현정> 수액 양보네요, 수액 양보.
◆ 정성수> 네, 그리고 수혈은, 혈액은 문제가 안 됐던 게 저희들이 혈액이 많이 부족한 상태라고 해서 시민군들이 마이크를 통해서 시내를 돌아다니면서 혈액이 부족합니다 방송을 하니까 헌혈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줄을 서가지고.
◇ 김현정> 내 피를 가져가시오, 수술할 때 쓰시오.
◆ 정성수> 다 일이 끝나고 나서 피가 굉장히 많이 남아 있는 상태였습니다, 오히려.
◇ 김현정> 오히려, 오히려.
◆ 정성수> 그런 것을 보면서 아, 이게 한마음 한뜻의 힘이구나 느꼈습니다.
◇ 김현정> 그 난리 속에서도 시민들은 서로를 아끼고 보호하고 감싸주고. 이거 보면서는 정말 전율이 오르셨을 것 같은데요.
◆ 정성수> 네네.
◇ 김현정> 그렇죠, 그렇죠. 5.18 당시 전남대병원 응급실에서 인턴을 했던. 그래서 그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이번에 기술한 전남대병원 정성수 교수 지금 만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 진압이 정말 잔인했던 건 병원에 대해서도 공격을 가했다는 거예요. 병원 건물을 향해서. 아니, 전쟁통에도 병원은 못 건드리게 돼 있는 건데 어떻게 병원에 대해서 공격이 있었습니까?
◇ 김현정> 기관단총이라면 두두두두 쏘는 그 총?
◆ 정성수>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병원을 향해서 발포하면서 사라졌다고요?
◆ 정성수> 양쪽으로. 그 길이 화순으로 가는 길에 저희 병원이 있기 때문에 전 건물에다가 대놓고 발포하면서 가는 거죠.
◇ 김현정> 왜요? 왜 병원을 향해서?
◆ 정성수> 모르겠습니다. 자기들의 생명에 위협을 느껴서 그랬지 않았겠는가 하는… 좋은 마음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차라리 그렇게 해석해야 마음이 편하지 거기 누워 있는 아파 있는 사람들을 향해서 기관총을 쐈다는 건 이건 어떻게도 해석이 안 되는.
◆ 정성수> 그렇습니다.
◇ 김현정> 아이고. 그런 일도.
◆ 정성수> 그리고 두 번째는 27일날 광주가 함락되던 당시에 20사단이 들어오면서 우리 병원에 총을 사격하게 되는데 그 이유가 병실에 폭도들이 많이 있다는 그 소문하고 우리 의료진이 또 숙소에서 밖에 창밖으로 머리를 내밀고 보고 있었더니 그쪽으로 해서 총을 쏴버렸거든요. 그래서 물론 맞지는 않고 유리창이 깨지고, 병실로 숙소 안으로 실탄이 들어오기는 했는데 그런 식으로 이제…
◇ 김현정> 숙소 안으로까지 총알이 들어왔어요, 실탄이?
◆ 정성수>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렇게 그 정도 공포스러운 상황인데 의료진들 도망간 사람은 없습니까?
◆ 정성수> 우리는 병원을 지킬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그 당시에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상황이 닥치더라도 온 시민이 한마음 한뜻이 되면 못 이룰 것이 없다는 것을 실제로 경험했거든요. 그래서 아무리 힘들고 하더라도 서로 같이 돕고 한마음이 된다 하면 못 헤쳐 나갈 일이 없겠다 하는 자신감을 그때 받게 되었습니다.
◇ 김현정> 오히려, 오히려. 그래요. 그게 37년 전의 일인데요, 교수님. 아직도 생생하세요, 눈 감으면?
◆ 정성수> 그렇죠. 지금 생각에 광주의 아픔이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에 상당히 기여했을 걸로 믿고 있거든요.
◇ 김현정> 물론이죠, 물론이죠.
◆ 정성수> 물론 그 당시에 광주 현장에 있지도 않았던 사람들이 자기 이익을 위해서 북한 소행이라든지 그런 모함을 지금도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자기의 권력을 위해서 국민을 죽이는 집단은 반역자들이거든요. 지금도 그 반역자들이 살아 있고 이를 추종하는 세력이 아직도 일부 존재한다는 사실은 굉장히 슬픈 사실입니다.
◇ 김현정> 슬픈 사실. 그런 얘기 들을 때마다 어떠세요?
◆ 정성수> 참담할 따름이고요. 광주 민주화 항쟁이 아픔도 크지만 그 후에 우리 광주 시민들이 받은 상처가 훨씬 더 크거든요.
◇ 김현정> 그 후의 상처요?
◆ 정성수> 네.
◇ 김현정> 어떤 편견 같은 것?
◆ 정성수> 광주의 아픔이 광주 시민만의 아픔이 되었습니다. 그래가지고 우리를 죽인 집단을 용서하지 못하는 그 상황을 오히려 지역주의의 원흉으로 지금 몰아갔거든요. 그래서 광주 시민을 폭도로 몰아가고. 그 당시에 받았던 2차 피해는 실제적으로 1차 피해보다도 훨씬 더 컸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김현정> 그렇군요.
◆ 정성수> 그러면서 느낀 것이 광주의 큰 아픔을 경험했던 사람으로서 지금도 남모르게 남의 아픔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 않겠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래서 남의 아픔을 그 사람의 아픔만큼은 느끼지 못할망정 그 사람의 아픔을 헤아리고 조금이나마 같이 아픔을 나눌 수 있는 그런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고 우리 세월호를 보면서도 그런 것을 많이 느꼈였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남과 같이 아픔을 느낄 수 있는 이런 사회가 진정 민주주의 사회고 올바른 길로 가는 사회가 아니겠는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참 좋은 말씀입니다. 또 광주의 아픔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는 말씀을 들으니까 마음이 더 아프기도 하고 그러네요. 우리가 그 아픔을 헤아리고 어떻게 하면 치유해 줄 수 있을까 같이 슬퍼해 주는 거,같이 방법 찾는 거 여기까지도 이어져야겠습니다.
◆ 정성수> 네.
◇ 김현정> 오늘 귀한 말씀 대단히 고맙습니다.
◆ 정성수> 감사합니다.
◇ 김현정> 5.18 당시 전남대병원 응급실의 인턴이었습니다. 그 당시 상황들을 생생하게 기술한 분. 정성수 전남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였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