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주춤' 潘, 설 앞두고 '빅텐트' 승부수

바른정당과 스킨쉽 시작…새누리 2차 탈당도 '가시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자료사진/박종민 기자)
귀국 직후부터 숨가쁘게 민생행보를 이어온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정치행보로 방향을 틀고 있다.

바른정당 소속 인사들과 접촉 면을 넓히고 야권 인사들과도 연쇄 회동을 추진하면서 '제3지대 빅텐트론'에 불을 붙여 설 밥상 민심에 올려놓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반풍(潘風)이 기대에 못 미치자 승부수를 띄운 셈이다.

이와 맞물려 새누리당 내에서도 2차 탈당 움직임이 가시화 되면서 이번 주가 반 전 총장 대권가도의 중요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 潘, 김무성·오세훈과 연쇄접촉…정치행보 가속화

반 전 총장은 지난 20일 바른정당의 구심점인 김무성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귀국 인사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의원은 바른정당 내에서도 대표적인 '반기문 영입파'로 꼽힌다.

김 의원은 공식석상에서 "반 전 총장이 새누리당은 절대 안 갈 것이고, 우리 바른정당 밖에 없다"며 "그렇게 된다면 바른정당이 우파를 대표한 정권창출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반 전 총장과 김 의원은 조만간 회동할 것으로 알려져 구체적인 연대 방안이 논의될 지 주목된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자료사진/윤창원 기자)
반 전 총장은 같은 날 바른정당에서 '윤리 태스크포스'를 맡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도 만나 "함께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 전 총장의 요청으로 이뤄진 이날 회동에서 오 전 시장은 "고민해보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 전 총장 측은 오 전 시장을 회동 대상으로 지목된 이유에 대해 "오세훈법으로 대표되는 정치개혁의 상징적 인물"이라며 "반 전 총장은 정치교체라는 것을 내세우고 있으니 개혁적인 분과 만나 편하게 이야기를 나눈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다만 "정당과는 별개로 오 전 시장 개인과 만난 것"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김 의원과 오 전 시장 모두 바른정당 소속 인사기에 '반기문·바른정당 연대설'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반 전 총장은 설 연휴 전까지 김무성 의원을 포함한 제3지대 인사 8인과 모두 회동하겠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손학규·박지원·안철수·김종인·김한길·정운찬·정의화 등 여야 비(非)문재인·비박근혜계 인사들이 회동 대상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반 전 총장이 바른정당을 플랫폼으로 한 제3지대 비문(非文)·비박(非朴) 빅텐트를 구상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새누리당 2차 탈당도 가시화…바른정당·潘 캠프행 '두 갈래'

반 전 총장의 행보와 맞물려 새누리당에서는 주춤하던 2차 탈당 움직임도 가시화되는 분위기다. 수도권과 충청권 의원들 사이에서 감지되는 탈당 기류도 바른정당과 '반기문 캠프'행(行) 양갈래로 나뉘고 있다.

일부 수도권 의원들은 22일 회동을 갖고 바른정당에 합류하자는 뜻을 공유했다. 당장 2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리는 바른정당 현판식과 24일 창당대회에 참석하자는 내부 여론도 감지된다. 일단 뜻을 굳힌 의원들이 먼저 탈당하면, 설 연휴 이후 단체 행동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박순자, 홍철호 의원은 우선 탈당하기로 마음을 굳힌 것으로 파악됐다. 박 의원은 이날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그간 함께했던 당원, 지역위원, 고문들과 토론회를 거치는 등 여론을 수렴했다"며 "진정한 보수정치를 해줬으면 한다는 바람에 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새누리당 박덕흠 의원 페이스북 화면 캡처)
충청권 의원 중에는 박덕흠 의원이 탈당을 결정했다. 다만 박 의원은 "당분간 제3지대에 머물며 반 전 총장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최근 충청권 의원들에게 설 연휴 전 결행을 촉구했지만, 반응이 미온적이자 자신이 먼저 선제행동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박 의원과 함께 충북을 지역구로 둔 경대수·권석창·이종배 의원은 이미 반 전 총장을 따르기로 공감대를 형성한 상태이고, 충남이 지역구인 정진석 전 원내대표도 반 전 총장을 돕겠다고 밝힌 바 있다.

수도권과 충청권 탈당파가 20명을 넘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 가운데, 반 전 총장과 바른정당의 향후 행보에 따라 2차 탈당 규모가 더 불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