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개편했지만 저물가·체감물가 괴리 여전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자료사진)
통계청이 소비자물가지수 개편을 완료했지만, 저물가 속 고공행진을 벌이는 '체감물가'와의 괴리는 좁혀지지 못했다.

16일 통계청은 소비자물가지수의 조사대상의 품목과 가중치 등을 조정한 '2015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 개편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물가지수 개편으로 2016년 11월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누계비는 2010년 기준 1.0%에서 2015년 기준 0.9%로 0.1%p 하락했다.

서민들이 호소하는 체감물가의 고공행진과 달리 오히려 소비자물가지수가 하락한 데 대해 통계청 우영제 물가동향과장은 "실제로는 구지수는 0.97%, 신지수는 0.94%인데 반올림한 바람에 하락했을 뿐, 별다른 차이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 "지표를 개편한 뒤 시간이 지날수록 소비지출의 변화상과 괴리가 생기면서 지수가 상향되는 효과가 있는데, 이것이 조정된 여파도 있다"며 "계층, 지역, 연령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체감물가가 다르다는 점도 감안해달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누계비로 0.1%p 상승했고, 생활물가지수도 전년누계비로 0.2%p 소폭 오르는 등 체감 물가를 가늠할 수 있는 변화도 눈에 띄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조사품목의 경우 2010년보다 21개 감소(481→460개)했으나 실제 조사하는 상품 종류를 말하는 조사규격은 45개 증가(954→999개)했다.

새롭게 추가된 조사품목으로는 전기레인지나 블루베리, 휴대전화·컴퓨터 수리비, 도시락 등이 현실반영도 제고를 위해 선정됐다.


또 고령화시대를 반영해 보청기나 안마의자 등의 건강기기 렌탈비, 휴양시설 이용료 등까지 총 18개 품목이 새로 선정됐다.

반면 지출액이 감소한 꽁치나 난방기기, 잡지, 케첩, 커피 크림이나 스마트폰 등으로 대체된 종이사전은 조사품목에서 탈락했고, 피망은 파프리카로 대체됐다.

또 주택설비에 일괄 포함되는 세면기와 무상 접종이 확대된 예방접종비용도 조사대상에서 제외된다.

가중치의 경우 2015년 담뱃값 인상 정책(주류 및 담배)이나 가전제품과 간병서비스 등의 활용도 상승(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단체여행과 온라인 콘텐츠 이용의 확대(오락 및 문화) 등이 반영돼 가중치가 늘어났다.

반면 학생 수가 줄어들거나(교육), 불경기로 지출이 줄어든 의류 및 신발, 단통법으로 기기 변경 횟수가 줄어든(통신) 세태 등도 반영돼 관련 품목의 가중치가 감소했다.

관심을 모았던 전세 가중치가 감소한 데 대해 우 과장은 "전세는 2년 뒤 돌려받기 때문에 월세로 전환해서 평가하면서 금액 자체가 감소한다"며 "또 자가 거주 비중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전세 가중치가 낮게 책정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온라인 거래가 활발해진만큼 온라인가격 적용품목을 2배 가량 확대해 온라인 조사규격이 2010년에 비해 57개 증가한 109개로 늘어났다.

조사지역도 행정구역, 인구이동 및 상권변화 등을 반영해 일부 변경됐다.

새로 생겨난 광역지자체인 세종특별자치시와, 경기도의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인구가 증가한 용인시를 조사지역에 새로 추가했다.

또 인구가 감소하고 상권이 약화된 남원과 보령은 각각 인구 규모가 증가한 익산과 아산으로 대체하고, 지역적 특성이 유사한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제주도로 통합해 반영하기로 했다.

이번 개편에서는 온라인 거래가격을 반영하기 위해 온라인상품 조사가 확대됐으며 다양한 상품가격을 반영할 수 있는 기하평균식이 도입됐다.

우 과장은 "기존 물가지수 통계를 2015년 기준으로 변경하고, 2016년 12월 및 연평균 소비자물가동향부터 신지수로 공표하겠다"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