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2015년 12월 28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지난 21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정부로부터 받는 '위안부' 지원금을 포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12월 28일 타결된 한일위안부합의가 '위안부' 피해 할머니 당사자들은 배제한채 이뤄진 만큼, 더이상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는 없다고 결정한 겁니다.
[관련 기사: "정부 돈 필요 없습니다"…정대협, 정부 지원금 전액 반납]한일 양국 정부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라고 못박으며 타결했던 지난해 협상. 심지어 후속조치 이행 조건으로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소녀상' 철거까지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5년 12월 28일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 집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한일 외교장관 회담 결과 공동 기자회견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자료사진) 할머니들로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협상이었습니다.
그로부터 6개월 여가 지났습니다. 정부는 이제 몇 분 남지 않은 할머니들을 점점 더 압박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위안부재단준비위원회 김태현 위원장은 지난 5월, 일본 정부가 출연하기로 약속한 10억 엔의 기금이 책임을 인정하는 증표란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됐습니다.
[관련 기사: 위안부재단 "日 10억엔 출연금, 국가범죄 인정한 것"]'한일위안부합의'에 따른 위안부재단설립준비위원회 김태현 위원장이 2016년 5월 31일 오전 서울 세종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첫 회의 종료 후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사진=황진환 기자) 정부는 그동안 추진해왔던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업 예산을 돌연 줄줄이 삭감했습니다.
[관련 기사: '日위안부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예산 '전액 삭감']1년에 2번, 1500만원 씩 지원받던 돈까지 거절한 정대협. 이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단 42명 뿐입니다.
이 분들을 위해 노컷뉴스도 작게나마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노컷뉴스가 진행한 다음 스토리펀딩 '위안부 할머니를 피규어로 만들다' 프로젝트에 모인 후원금 중 일부를 정대협에 기부했습니다.
앞서 한일위안부합의 직후에는 할머니들과 외교부 당국자의 만남 영상을 해외에 있는 독자의 도움으로 영문판으로 제작해 국제사회에 알리기도 했습니다.
정대협 윤미향 상임대표는 지난 21일 "힘들겠지만 정부가 아닌 시민을 믿고 가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에는 기대지 못하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정부가 외면하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정부가 아니라면 국민들이라도 그분들께 의지할만한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보태고자 합니다.
서울시청 앞 서울도서관 외벽 꿈새김판 (사진=황진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