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후(현지시간) 보도된 블룸버그 인터뷰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통일이 우리가 추구해야 할 최우선 목표이며 통일이 새로운 도약의 디딤돌이라는 신념에 변화가 없다"면서 기존 '통일대박론'을 고수했다.
박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진정한 변화의 길로 나선다면 얼마든지 그런 길로 나갈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앞으로도 도발을 계속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화, 교류, 제재 모두가 평화통일을 위한 도구일 수 있지만, 지금은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 변화를 이끌어내야만 궁극적으로 제대로 된 평화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31일부터 이틀간 워싱턴에서 미중일 정상들과의 개별회동 및 핵안보정상회의 일정 등을 통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공조를 촉구할 예정이다.
'김정은 정권이 변화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블룸버그의 질문에 박 대통령은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가들도 강력한 독자 제재조치를 시행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압박 틀이 마련되고 있다. 이번에야말로 국제사회의 지원이 핵과 미사일로 돌아오는 악순환을 반드시 끊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남한 핵무장론과 관련해서는 "사회 일각에서 그런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나는 '핵무기 없는 세상의 비전은 한반도에서 시작돼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도 흔들림없이 비핵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북 압박에 대한 '중국 역할론'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한중 양국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채택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한 바 있고, 결의를 충실히 이행한다는 공동의 인식도 갖고 있다"며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를 철저 이행하면서 북한에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게 중요한데,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줄 걸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일 관계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는 작년말 타결된 위안부 문제 합의의 정신을 존중하고, 역사를 직시하면서 과거의 과오를 잊지 말고 미래세대에 대한 올바른 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박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수출·내수 균형 도모와 신성장동력 확충을 통한 경제활성화, 여신심사 강화 등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 노동개혁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등 경제 문제 관련 해법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북한이 평화의 길로 나설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 한반도 평화의 초석을 놓은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싶다"는 말로 인터뷰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