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5.18 전야제 참석했다가 '혼쭐'(종합)

문재인 대표, 5.18 민주 대행진에 참석하고 전야제 미참석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5.18 35주기 행사위원회 등의 자제 요청에도 5.18 전야제 참석을 강행했다가 행사위 및 시민의 거센 반발로 10여 분 만에 자리를 떴다.

이에 반해 새정치 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전야제에 앞서 민주 대행진에 참가했다가 전야제는 참석하지 않았다.

김 대표는 17일 오후 7시 25분께 5.18 35주기 전야제 오프닝 행사가 진행하는 동안 갑자기 새누리당 관계자들과 참석을 강행했다.

이 과정에서 35주기 5.18 행사위 등이 "김 대표"의 퇴장을 요구하며 전야제 주 무대 앞 행사장이 자리를 지키려던 김 대표 측과 김 대표를 물러나게 하려는 행사위 및 시민 측과 격렬한 마찰이 빚어졌다.

이로 인해 5.18 35주기 전야제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김 대표는 결국 시민과 행사위 측의 거센 퇴장 요구에 못 이겨 전야제 참석 10여 분 만에 경찰의 경호를 받으며 자리를 떴다.

이에 앞서 35주년 5.18 행사위 측과 세월호 참사 광주 시민 대책위는 16일 김 대표의 5.18 35주기 전야제 참석과 관련해 국민과 광주시민의 정서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성명을 통해" 5.18 상징노래인 ‘임을 위한 행진곡’의 기념곡 지정과 제창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국가보훈처가 색깔론을 덧씌우고 국론분열을 조장하는 것으로 몰아가는 상황에서 현 정부와 새누리당에 대한 국민적 정서가 매우 우려스럽다."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또, 5.18 전야제에 세월호 유가족들을 초청해 아픔을 함께하기로 했는데 유족들은 세월호 특조위를 무력화하는 정부 시행령 문제에 대한 아무런 해결책 없는 조건에서 여당 대표와 함께 전야제에 참석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의견을 전해왔고, 대책위는 이들 유족의 이런 뜻에 충분히 공감한다."라며 김 대표의 5.18 전야제 참석 "자제"를 요구했다.

그런데도 김 대표가 전야제 반대를 무릅쓰고 참석을 강행하는 것은 오는 2017년 대선을 앞두고 호남 민심을 얻으려는 정치적 포석이 깔렸던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문재인 새정치 민주연합 대표는 본격적 전야제 행사에 앞서 민주 대행진에 참가했다가 전야제는 참석하지 않고 대신 이종걸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직자가 참석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