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사 측에서는 노사협상 대상이 아닌 요구를 내세운 불법파업 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노사협상 대상이 아닌 방송 민주화 를 이유로 파업 을 벌이고 있는데도 방송사들의 공동보조가 이루어지고, 시청자들이 보고싶은 프로그램의 결방을 참고 있는 것은, 그동안 이들 방송사의 보도, 제작, 편성에서 공정하지 않은 일들이 많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이 정부의 방송정책은 노무현 정부의 진보적인 방송정책에 대한 반동으로, 최시중 한국갤럽회장을 방송통신위원장에 임명함으로써 방송을 장악하는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 위원장은 인적쇄신을 통해 방송을 장악하는 데 일견 성공을 거두었다. KBS와 MBC의 새 사장들은 시사 프로그램들을 줄줄이 폐지했고 비판적 언론인들을 해고하고 좌천시켰다.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작용이 있는 법. 최 위원장은 결국 지난 1월 27일 사퇴했다. 최 위원장의 사퇴를 계기로 이 정부의 방송정책은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어야 했다. 그러나 관성에 안주하다가 결국 공동파업 사태를 빚게 된 것이다.
해결방법은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결자해지에 나서야 한다. 정권의 자존심이나 레임덕을 운운할 때가 아니다. 방송의 중립성을 보장하는 정책을 펴 나가야 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방송사 사장을 입맛대로 임명하고, 방송내용을 원격 조정하는 상황은 되풀이 될 수 없다.
누가 다음 정권을 잡든, 방송이 공정성, 공익성, 중립성을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음 정권이 아니라 지금 당장 방송통신위원회를 개편하고, KBS이사회와 방송문화진흥회의 구성과 운영을 비정파적으로 쇄신해야 한다. 눈앞의 승부가 아니라 역사에 남을결단, 이른바 방송의 6 29선언 이 나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