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업에 특근…고3 잡는 '노예실습'

전문계고 장학금 빌미 '강요'

SEEEE
살을 에는 한파가 몰아닥친 25일 크리스마스, 박지은(19·가명) 양은 어둠이 가시지 않은 새벽길에서 발걸음을 재촉했다.


새벽 6시 공장 출근시간에 맞춰 무거운 발걸음을 옮기는 박 양의 입에선 하얀 김이 차가운 겨울바람 사이로 연거푸 쏟아졌다.

실업계 고등학교 3학년인 박 양은 지난 8월 선생님의 추천으로 경기도의 한 반도체 공장에 현장 실습을 지원했다.

하지만 하루 8시간을 꼬박 서서 기계를 다루는 작업은 생각보다 고됐다.

"크리스마스 이브이던 어제도 일했어요. 5개월 정도 일했는데 맨날맨날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을 해요." 경기도 내 한 공장에서 석달째 현장실습을 하고 있는 정태수(19·가명) 군은 선배들의 '구박' 때문에 회사 생활이 힘들다.

필기 내용을 암기하던 도중 피곤함에 지쳐 잠시 졸았는데, 회사 관리자가 욕설을 퍼부었다.

"야, 이 XX야. 똑바로 못해? 너네 교장 번호 대. 작년 애들은 잘 했는데 얘는 왜 이렇게 수준이 떨어져?" 빨리 실력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에 쇳가루를 마셔가면서 열심히 익혔지만 '갈굼'은 줄지 않았다.

"이름도 안 불러요. 회사에서 저는 그냥 '고삐리'에요. 밥 먹을때 수저 뜨자마자 '오늘 밥값했느냐'고 물어봐요. 속상하지만 그냥 웃고 넘겨요." 지난 18일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현장실습을 하던 고등학생이 뇌출혈로 쓰러지면서 고교실습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제도는 지난 2006년 노예 노동과 인권침해 등을 이유로 폐지됐다가 지난 2008년 이명박정부의 '4·15 학교 자율화' 조치로 사실상 부활했다.

문제는 이 제도가 MB정부의 특성화고 정책과 맞물리면서 전문계고 취업률을 높이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는 이에 대해 "교과부가 전문계고에 지원되는 학비 장학금을 빌미로 취업률이 낮은 학교에 예산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협박 아닌 협박을 하고 있다"며 "아이들이 힘든 줄 알면서도 공장으로 내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청소년노동인권 네트워크 노무법인 노동과 삶 최은실 노무사는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학기중에 발생하는 현장실습은 원칙적으로 폐지되어야 한다"며 "노동 단체 및 교육 단체와 교육부가 협의체를 구성해서 방안을 마련하는 게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