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최종운 (고려대 총학생회장)
매년 가을쯤이면 나오는 대학순위평가라는 게 있습니다. 세계적으로도 이뤄지고 있고요.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언론사들이 매년 발표하고 있죠. 그런데 이 대학평가에 대해서 대학생들이 들고 일어났습니다. 바로 어제 일인데요. 그동안에도 거부하는 대학들의 움직임은 있었습니다만, 이렇게 학생들이 주도적이고 공식적으로 거부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어서 화제입니다. 이번 거부 운동을 주도하고 나선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최종운 총학생회장, 직접 연결을 해 보죠. 최종운 회장, 나와 계십니까?
[김현정의 뉴스쇼 전체듣기]
◆ 최종운>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이번이 그러니까 언론사에서 발표한 대학순위평가인 거죠?
◆ 최종운>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혹시 이번에 고려대가 순위가 안 좋게 나왔어요?
◆ 최종운> 아닙니다. 고려대는 지난해보다 훨씬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 김현정> 오히려 고대 순위가 좋은데, 그런데 왜 갑자기 올해 반대하고 나서신 겁니까?
◆ 최종운> 그 부분이 저는 더 매력적으로 다가와서 반대하게 됐습니다. 순위가 낮게 나온 상태에서 대학평가를 거부하게 되면요. ‘저 친구들 대학평가순위가 안 나와서 거부하는 게 아닌가.’ 이런 비판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 김현정> 오해를 받을 수도 있어서요?
◆ 최종운> 네. 그래서 지금이 훨씬 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오히려 우리가 순위가 잘 나왔을 때 비판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이게 객관적인 비판이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각인시키자는 말씀이신데요. 대학순위평가, 뭐가 문제라고 보시는 거죠?
◆ 최종운> 대학순위평가가 가지는 본래 목적 자체가 대학교육을 양질화시키고 더 발전시키는 부분에 있는데요. 그런 부분은 전혀 고려가 되지 않고 자극적인 부분에만 초점을 맞춰서 오히려 대학 교육의 본질을 해치는 부분이 있어서 거부하게 됐습니다.
◇ 김현정> 자극적인 부분만을 부각시킨다?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 최종운> 가장 영향력이 있는 언론사의 머릿기사만 보더라도 부등호 표시로 대학을 표시한다든지, 어느 특정대학이 특정대학을 제쳤다, 이렇게 크게 써붙이면서 관심도를 높이려고 하는 모습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 김현정> 그렇군요. 말하자면 대학의 서열을 매기는 데 대학순위평가가 앞장서고 있는 건 아닌가, 이렇게 보시는 거예요.
◆ 최종운>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평가항목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세요?
◆ 최종운> 평가항목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아쉬운 부분이 많죠.
◇ 김현정> 지금은 어떤 항목들 가지고 순위와 점수를 매기나요?
◆ 최종운> 보통 국제화지수도 있고요. 사실 국제화지수라고 하면 어떻게 수치를 매겨야 할까. 당장 생각해본다면 고민이 되는 부분도 많은데요.
◇ 김현정> 국제화지수라는 건 점수를 어떻게 매긴다고 해요?
◆ 최종운> 보통 영어강의 비율, 그리고 교환학생 내지는 외국인 유학생이 얼마나 많은지, 이런 부분으로 평가를 합니다.
◇ 김현정> 그렇군요. 그런데 외국인 학생이 많고, 영어강의 비율이 높으면 좋은 거 아니야? 이렇게 그냥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그렇게는 안 보세요?
◆ 최종운> 단편적인 모습만 보게 된다면 ‘되게 괜찮은데? 너희 학교는 여러 가지 문화도 체험할 수 있어서 좋겠다.’ 이렇게 느낄 수도 있겠지만요. 그런 부분보다는 사실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재정적인, 인력적인 자원들을 굉장히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부분도 있고요. 실제로 지방의 사립대학 같은 경우에는 대학 재정의 거의 8, 90%를 전부 다 유학생 유치에 쓴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 김현정> 어떻게 보면 점수를 따기 위해서, 외부에 보이는 부분들을 채우기 위해서 재정이 무리하게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는 말씀이시군요.
◆ 최종운> 그렇죠.
◇ 김현정> 대학들이 그렇게 목숨을 걸만큼 대학순위평가라는 게 중요합니까? 대학가에서 중요하게 인식이 됩니까?
◆ 최종운> 사실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그리 크게 와 닿진 않습니다. 다만 대학본부에서는 굉장히 크게 보고 있고요. 대학별로 대학평가팀이 따로 꾸려져 있는 상태가 그걸 간접적으로 어필을 해준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대학순위평가에서 작년보다 낮은 순위를 받으면요. 나중에 대학입시 경쟁률, 그리고 고3 학생들이 선호하는 대학과 아닌 대학, 이런 데도 영향을 미쳐요?
◆ 최종운> 저는 그렇게 언론사에서 호도하는 부분이 있어서, 조금 신경쓰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 김현정> 대학들도 실제로 그런 게 신경이 쓰이니까 대학평가팀까지 꾸리고 그러는 거겠죠?
◆ 최종운> 네. 아무래도 대학평가가 나오는 시기 자체가 10월 첫째, 둘째주 정도거든요. 그때 어떻게 보면 고등학생 친구들이 수능원서를 넣는, 수시, 정시를 쓰는 기간과도 맞닥뜨려 있어서요. 그 부분에서 대학본부는 더 크게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그렇군요. 그런데 대학순위를 매기는 언론사들에서는 뭐라고 얘기를 하냐면요. ‘이렇게 해야 우리 대학의 경쟁률을 높일 수 있다. 어쨌든 객관적으로 평가할만한 단서는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 안 그러면 대학이 굉장히 방만하게 운영될 수도 있다. 관리, 감독, 감시하는 사회적인 협의체는 필요한 것 아니냐.’ 이렇게 얘기를 하는데요?
◆ 최종운> 거기에 대해서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건 저도 인정합니다. 언론사 대학평가가 1994년에 처음 도입됐을 때 목적도 그런 부분이 있었고요.
◇ 김현정> 경쟁력 강화.
◆ 최종운> 네. 대학평가 초기에는 그런 부분의 역할도 충분히 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제는 그 영향력이 너무나 커졌기 때문에, 그런 부작용들이 많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고요. 굳이 언론사가 해야 될까란 생각이 저는 많이 들거든요.
◇ 김현정> 그러면 경쟁력 강화라는 명분 외에 언론사들이 대학순위평가에 앞장서는 다른 이유가 또 있다고 보세요?
◆ 최종운> 저는 아무래도 금전적인 부분도 무시를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대학순위평가가 금전하고 무슨 상관입니까?
◆ 최종운> 신문을 읽다 보면 광고 지면이 있지 않습니까? 실제로 9월, 10월쯤에 대학 관련 광고가 급증한다는 논문 결과를 본 적이 있습니다.
◇ 김현정> 9월, 10월. 대학순위평가를 할 시기가 되면 신문에 대학 광고들이 많이 붙는다?
◆ 최종운> 그렇죠.
◇ 김현정> 혹시 그것과 연관이 돼 있는 건 아닌가, 이런 의심도 드신단 말씀이세요?
◆ 최종운> 그렇게 연관이 있어서 ‘광고를 게재하면 순위를 높여줄게.’ 이 정도로까지는 생각하지 않고요. 다만 그런 자극적인 기사를 낼 수밖에 없는 문제가 그런 자본적인 문제와도 같이 맞물려서 돌아간다는 말씀을 드린 겁니다.
◇ 김현정> 대학이 광고를 낸다고 해서 순위를 올리고 이런 건 아니겠지만, 어쨌든 대학 순위를 발표하고 관련 기사가 나오면 수험생들이 많이 볼 테고요. 그러면 거기 대학들이 광고를 많이 실을 테고요. 이렇게 순환이 될 거라고 보시는 거군요?
◆ 최종운> 네, 저는 그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대학평가 거부 입장을 고려대가 처음 밝혔는데요. 그럼 혹시 다른 학교 총학생회하고도 연계해서 뭔가 운동할 계획이세요?
◆ 최종운> 아마 2주 정도 후에 기자회견을 할 것 같은데요. 기자회견에서는 다른 학교와 함께 목소리를 내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지금 다른 학교 총학생회와도 얘기를 해보신 거죠?
◆ 최종운> 그렇습니다. 제안을 직접적으로 넣은 학교는 연세대학교고요. 다른 대학 같은 경우에는 이번 주에 저희가 자료집을 완성한 다음에 제안을 직접 얘기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 기자회견에 연세대 총학생회도 동참한다고 했군요?
◆ 최종운> 그렇습니다.
◇ 김현정> 2주 뒤에 공식적으로 기자회견을 갖고 대학평가에 대한 거부입장을 밝힐 것이고 거기에 다른 대학들도 동참할 것이다. 이런 말씀이세요. 알겠습니다. 관심가지고 지켜보겠습니다. 오늘 고맙습니다.
◆ 최종운> 네, 수고하셨습니다.
◇ 김현정>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최종운 회장 만났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