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낮은 차주, 저신용 하락비율 3배

금융위기 이후 20대 10명 중 3명 저신용자

소득이 적을수록 저신용자로 전락하는 비율이 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은행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저신용 가계차주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6월 말 당시 중·고신용(1~6등급) 차주 중 연소득 6천만원 이상 차주가 2013년 6월 현재 저신용(7~10등급)자로 하락한 비율은 7.5%였다.


그러나 2천만원 미만 차주는 21.4%로 2.9배에 달했다. 소득이 낮을수록 저신용 차주로 떨어질 가능성이 그만큼 높은 셈이다.

저신용 하락 차주의 평균 총부채상환비율(DTI)은 금융위기 전 14.2%에서 이후 84.9%로 6배나 악화됐다.

금융위기 이전부터 저신용 상태에 있던 차주의 DTI는 같은기간 44.9%에서 71.4%로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20대 중·고신용 차주 중 27.9%가 금융위기 이후 저신용자로 전락했다. 학자금 상환부담에 따른 고금리 대출 기관 이용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형태별로는 무직 및 자영업자의 저신용 하락비율이 각각 17.2%, 11.6%로 임금근로자(9.9%)를 크게 앞질렀다.

또 금융위기 이후 은행 차주보다 '비은행 차주' 또는 3개 이상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보유자인 '비은행내 다중채무자'의 저신용 하락률이 높게 나타났다.

은행 차주의 저신용 하락률은 2008년 6월 말 8.9%에서 2013년 6월 말 4.1%로 하락한 반면, 비은행 차주는 15.6%에서 19.5%로 상승했다. 비은행 내 다중채무자의 경우 21.8%에서 40.5%로 대폭 올랐다.

금융위기 이후 저신용 하락 차주의 금융기관별 대출비중 변화를 보면, 은행 및 상호금융비중은 각각 29.2%p, 3.9%p 감소했다.

반면 카드대출은 15.0%p, 캐피탈대출은 9.4%p, 저축은행 대출은 7.0%p 증가했다.

다중채무자 비중도 29.4%로 6년 전(10.5%)에 비해 크게 늘었다.

한은 거시건전성분석국 이장연 과장은 "저신용 가계차주 문제 심화는 금융기관 건전성 저하는 물론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정부의 재정부담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며 "취약계층의 신용저하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은이 한 신용평가기관에 의뢰, 2013년 6월 말 기준 대출 보유 1248만명 중 50만명의 데이터를 임의로 추출해 역추적한 결과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