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금융권 화두는 '해외진출', 그렇지만…

(사진=이미지비트 제공)
새해 금융권의 화두는 '해외진출'이다. 지난 3일 있었던 범금융기관 신년인사회에서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산업이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해외진출 확대에 힘써야 한다"고 밝혔고 금융권 CEO들도 한목소리로 해외사업을 언급했다.

이처럼 금융권이 해외시장 진출을 새해 과제로 삼고 있는 것은 국내 금융시장에서는 더이상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예대마진을 주수익원으로 하는 은행의 경우 대출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대기업은 은행 차입보다는 자기신용으로 자본을 직접 조달하거나 이익 잉여금을 이용하고 있고 가계는 대출잔액이 1천조를 넘어섰지만 가처분 소득의 감소로 건전성에 빨간 불이 켜진 상태이다. 그렇다고 중소기업 대출을 늘리기에는 은행으로서는 위험부담이 크다.

지난해 증시 침체를 겪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도 국내영업과 수익창출에 어려움을 맞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기관이 너나없이 해외진출을 나서고 있다. 여기에는 금융업을 차세대 유망서비스업으로 육성하려는 박근혜 정부의 정책도 한몫을 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해외에 진출한 국내금융기관 점포수는 모두 377개로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진출의 '질'을 보면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는게 금융계 안팎의 분석이다. 몇년째 '현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대다수 고객은 여전히 해외에 있는 교포, 주재원, 한국기업에 머물고 있다는 것.

해외에 진출한 국내금융기관 점포장은 "영업장이 사랑방 수준"이라며 "주고객층인 현지교포들의 각종 하소연을 들어주는게 주요 일과"라고 설명했다. 이 점포장은 "하지만 이들이 주요고객이다보니 박대할 수도 없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물론 해외진출 금융기관들도 주재국 현지인들을 상대로 적극적인 영업을 펼쳐야 한다는 점은 알고 있지만 글로벌 금융기관에 비해 낮은 인지도와 빈약한 자본 등으로 활동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금융감독당국의 각종 규제가 해외진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도 여전히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해외진출에 직접적인 걸림돌이 되는 규제 이외에도 금융업 전반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금융기관들이 해외진출에 눈을 돌릴 여유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1월 해외진출과 관련한 일부 규제를 완화했다. 국내은행이 현지 은행지주회사를 인수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투자은행 업무도 할 수 있도록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금융기관 해외진출을 위한 각종 규제 정비는 이미 이뤄진 상황"이라며 "추가적인 규제 정비 대신 이를 이행해야 할 시기"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외진출 금융기관들이 시장에서 부딪히는 부분은 사실 영업력"이라며 "이 부분은 감독기관이 이래라저래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현장에서 부딪히면서 금융기관들이 쌓아야 한다"며 "시간이 흘러야 해결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