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대상 계열사 가운데 가장 가시화한 우리투자증권 패키지 매각이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연기됐기 때문이다.
정부와 우리금융은 매각 과정에서 제기된 쟁점을 두고 이견을 조율하느라 시간을 벌어두는 것뿐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과거에도 우리금융 민영화가 입찰 단계에서 번번이 불발됐던 점으로 미뤄 실패가 반복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 우투증권 패키지 매각 '長考' 끝에 연기
우투증권 패키지란 우리금융의 주력 계열사인 우투증권을 중심으로 우리아비바생명보험·우리금융저축은행·우리자산운용 등 3개 계열사를 붙인 '1+3' 매물이다.
증권업계 선두권인 우투증권에만 입찰이 몰릴 것으로 보고 생명보험·저축은행·자산운용을 '끼워 파는' 형식으로 만든 구조다.
이 때문에 우리금융은 지난 8월16일 매각공고를 내면서 우투증권을 사려면 우투증권 뿐 아니라 나머지 3개 계열사에 대해서도 가격을 제시하도록 했다.
문제는 '패키지 일괄 매각'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개별 입찰을 허용한다'는 대목이다.
일괄 매각을 원칙으로 삼아 민영화 속도를 높이면서 최적의 인수 가격을 형성하려는 '양수겸장'의 의도가 담겼다.
그러나 입찰 참가자들의 실사 과정에서 생명보험·저축은행의 가치가 예상보다 낮은 것으로 파악돼 일이 꼬였다.
우투증권은 저마다 갖고 싶어 하면서도 생명보험·저축은행은 누구도 가져가기 싫어하는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결국 우투증권에 대해 최고가격을 써낸 KB금융지주가 생명보험·저축은행에는 마이너스(-) 가격을 써내 패키지 가격에선 가장 낮아지자 입찰 구도가 뒤틀렸다.
패키지를 통째로 팔자니 우투증권 등을 상대적으로 헐값에 넘기는 꼴이 되고, 우투증권만 떼어 팔자니 일괄 매각 원칙이 깨지는 상황이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20일 회의에 앞서 이사들 사이에 패키지 해제 여부를 놓고 논의했으나 의견을 모으지 못해 연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패키지 일괄 매각으로 가면 일부 자산에 대해 나중에 문제가 되지 않을까를 우려한 것 같다"고 말했다.
◈ 우리금융 민영화 진통…지방은행 매각도 불투명
우투증권 패키지와 비슷하게 일정이 추진돼 온 우리금융의 두 지방은행(경남은행·광주은행)의 매각도 앞날이 불투명하긴 마찬가지다.
가장 큰 난제는 아직 세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두 지방은행을 우리금융에서 떼어내 팔려면 물어야 하는 세금이 6천574억원에 달한다.
정부와 우리금융은 국회에 조세특례제한법(조특법) 개정을 건의했지만, 아직 결실을 거두지 못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면세 조치가 없으면 지방은행 매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봐도 된다"고 말했다.
입찰 구도도 아직 안갯속이다. 경남·광주은행에 대한 본입찰은 오는 23일로 예정됐다.
경남은행에 대해선 DGB금융지주가 합세하고 MBK파트너스 자금을 끌어들인 경은사랑컨소시엄이 BS금융보다 다소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MBK파트너스가 비금융주력자로 판명되면 지분 투자율이 15% 이상을 넘지 못하게 돼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광주은행의 경우 신한금융지주가 자금력과 경영능력 등에서 앞섰다는 평가를 받지만, 역시 우투증권 패키지처럼 본입찰에서 어떤 변수가 생길지 장담할 수 없다.
우투증권 패키지가 매각 방식에 따른 배임 논란으로 한 차례 삐걱댔다면, 지방은행 매각은 영·호남 양쪽의 지역 정서가 섞였다는 점이 변수이기도 하다.
정부는 그러나 우리금융의 민영화를 큰 틀에서 계획한 대로 차질없이 끌고 갈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공자위 관계자는 "시간이 불충분하면 조금 늦춰질 순 있지만, 우리금융을 반드시 민영화하겠다는 정부의 입장과 방향에는 변화가 없다"고 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