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도 이용 안하는 ‘공공기관 앱’…무용지물

전문가 “개발도 중요하지만, 앱 특성상 유지‧관리가 더 중요”

공공기관들이 수십억 원의 예산을 들여 개발한 ‘공공 애플리케이션(이하 공공 앱)’이 사용자들의 외면속에 활용도와 이용률이 저조해 혈세 낭비라는 지적이다.

이들 ‘공공 앱’은 교통이나 관광, 부동산, 취업, 복지, 안전 등의 공공분야 정보를 시민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스마트폰 전용 프로그램이다.

26일 서울시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가 운영 중인 공공 앱 수는 38개, 경기도는 26개다.

기초지자체들도 앞 다퉈 앱을 개발, 출시하고 있어 경기도내 지자체의 경우 수원 7개, 성남 7개, 군포 5개 등 모두 72개의 공공 앱이 나와 있다.

앱 개발비로 서울시는 10억여 원을, 경기도는 7억여 원을 투입했다.


◈대부분 홍보‧관리 안돼…이용률 저조

그러나 이들 공공기관들은 개발ㆍ출시에만 열을 올리고 홍보나 관리에는 거의 손을 놓고 있어 시민들의 외면 속에 사실상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의 공공 앱 이용현황을 보면 38개 중 절반 이상(53%)인 20개가 다운로드 수가 1만 건이 안 되고, 이중 3개는 100건에도 못 미쳤다.

경기도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26개의 앱 중 6개를 제외하고 3분의 2 이상(77%)인 20개가 다운로드 수 1만건 미만이다. 다운로드 수 100건대 앱도 5개(19%)나 됐다.

앱의 특성상 최신 정보의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함에도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경기도가 운영하는 ‘경기평생학습포탈’ 앱은 도내 31개 지자체의 평생교육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됐지만 3∼4개의 지자체만 등록된데다 지난 2월 이후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남양주시나 군포시가 관할지역의 실시간 교통상황을 보여주기 위해 내놓은 앱도 핵심적 기능인 CCTV 화면이 한 달 넘게 공급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정보의 수준이 형편없이 낮거나 기능이 중복되는 앱도 많아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다.

김진형 카이스트 교수는 “50만개 앱이 존재할 정도로 경쟁이 극심한 곳이 앱 시장”이라며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이 앱 개발을 위한 예산만 세우고, 유지 보수를 위한 예산을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특히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새로운 정보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해주지 않으면 그 생명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일부 관리가 되지 않아 도 차원에서 각 부서나 지자체에 관리 협조를 당부하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면서 “앞으로 앱 개발을 줄이고 모바일 웹 기반의 개발 추진은 물론 출시된 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리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