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공공 앱’은 교통이나 관광, 부동산, 취업, 복지, 안전 등의 공공분야 정보를 시민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스마트폰 전용 프로그램이다.
26일 서울시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가 운영 중인 공공 앱 수는 38개, 경기도는 26개다.
기초지자체들도 앞 다퉈 앱을 개발, 출시하고 있어 경기도내 지자체의 경우 수원 7개, 성남 7개, 군포 5개 등 모두 72개의 공공 앱이 나와 있다.
앱 개발비로 서울시는 10억여 원을, 경기도는 7억여 원을 투입했다.
◈대부분 홍보‧관리 안돼…이용률 저조
그러나 이들 공공기관들은 개발ㆍ출시에만 열을 올리고 홍보나 관리에는 거의 손을 놓고 있어 시민들의 외면 속에 사실상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의 공공 앱 이용현황을 보면 38개 중 절반 이상(53%)인 20개가 다운로드 수가 1만 건이 안 되고, 이중 3개는 100건에도 못 미쳤다.
경기도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26개의 앱 중 6개를 제외하고 3분의 2 이상(77%)인 20개가 다운로드 수 1만건 미만이다. 다운로드 수 100건대 앱도 5개(19%)나 됐다.
앱의 특성상 최신 정보의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함에도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경기도가 운영하는 ‘경기평생학습포탈’ 앱은 도내 31개 지자체의 평생교육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됐지만 3∼4개의 지자체만 등록된데다 지난 2월 이후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남양주시나 군포시가 관할지역의 실시간 교통상황을 보여주기 위해 내놓은 앱도 핵심적 기능인 CCTV 화면이 한 달 넘게 공급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정보의 수준이 형편없이 낮거나 기능이 중복되는 앱도 많아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다.
김진형 카이스트 교수는 “50만개 앱이 존재할 정도로 경쟁이 극심한 곳이 앱 시장”이라며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이 앱 개발을 위한 예산만 세우고, 유지 보수를 위한 예산을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특히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새로운 정보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해주지 않으면 그 생명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일부 관리가 되지 않아 도 차원에서 각 부서나 지자체에 관리 협조를 당부하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면서 “앞으로 앱 개발을 줄이고 모바일 웹 기반의 개발 추진은 물론 출시된 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리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