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 박철수 단장이 오후 5시 23분쯤 갑자기 기자실을 찾아 공개한 합의문 수정안에 따르면, 쟁점 사항이었던 재발방지 보장문제에 대해 북측은 "북남은 어떠한 경우에도 정세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공업지구의 정상운영을 보장하며 그에 저해되는 일을 일체 하지 않기로 하기로 하였다"고 적었다.
이 안은 실제로 북측이 오전에 김기웅 수석대표 등 우리 대표단에 제시한 내용이기도 하다. 남북이 재발방지 보장에 대한 책임을 '함께' 지자는 톤이다.
그러나 북측은 오후 들어 이 문항 뒤에 "이를 위하여 남측은 공업지구를 겨냥한 불순한 정치적 언동과 군사적 위협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담보하며, 북측은 이상의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 한 출입차단, 종업원 철수와 같은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을 담보한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남측의 불순한 언동이 없다면'이라는 우리 측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을 단 셈이다. 그간 북측이 사태의 원인을 남측의 '최고존엄 무시'로 들었던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 내용은 박 단장이 우리 측 취재진에게 배포한 내용에는 들어가 있지 않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오후 들어 북한이 본심을 드러낸 게 아니겠냐"고 했다.
회담장에서도 북측은 재발방지 문제와 관련해 우리 언론이 개성공단을 '돈줄', '밥줄'이라고 표현한 것이 가동중단의 근본원인이며 우리 측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우리 대표단은 재발방지 보장 부분과 관련해 북한의 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고, 이에 북한은 '회담결렬'이라며 남북 '공동 담보'를 하겠다면 판문점 채널을 통해 차기 회담 일정을 협의할 수 있다고 답했다고 통일부가 전했다.
김형석 대변인은 "북한은 합의서를 기술적으로 타결하고 개성공단 조기 재가동 등 자신들의 기존 입장을 관철하는데 주력했다"며 "북한이 재발방지 대책에 대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면, 정부로서는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