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없나? 의혹제기…파장 예상

사실로 확인될 경우 메가톤급 파문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열람을 앞둔 여야 위원들이 15일 오전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회의실에서 기록물을 기다리고 있다.(황진환 기자)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사실로 확인될 경우 엄청난 파장이 예상된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소속 열람위원들은 17일과 15일 이틀 동안 경기도 성남에 있는 대통령기록관에서 예비열람을 실시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대화록의 유무를 묻는 질문에 “확인해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바란다”며 “내일 오후 2시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민주당 박민수 의원도 “대통령기록물은 내용은 물론 목록을 유출하는 것도 위법”이라며 “내일 운영위원회를 통해 공식 입장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대화록이 없다는 의혹제기가 맞느냐”는 물음에 “그런 의혹이 제기됐다면 맞을 것이다”고 답했다.


민주당의 원내 관계자는 “아직 진상이 정확히 파악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는 아직 못 찾았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 같다”고 밝혔다.

앞서 여야 열람위원들은 지난 15일 ‘NLL'과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거리·등면적', '군사경계선', '남북국방장관회담', '장성급회담' 등 7개의 검색어로 대통령기록물 목록을 열람했다.

여야는 이어 검색어를 추가로 제시한 뒤 17일 2차 예비열람을 실시했다. 일각에서는 대화록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아 2차 열람을 실시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당초 여야는 국가기록원이 대통령기록물을 18일 국회로 보내면 오후 2시부터 운영위원회를 열어 열람을 하려했으나 대화록의 존재 여부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직후 대화록을 만들어 한 부는 청와대에 보관하다 국가기록원에 이관하고, 나머지 한 부는 국정원에 보관하도록 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