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투자유치 설명회. 충남도 제공해외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돌아오려는 기업도 늘고 있다. 이들 기업을 충남으로 유치하기 위한 충남 지자체들의 움직임 또한 분주하게 이어지고 있다.
충남도는 최근 5개 시·군과 함께 중국 상하이로 향했다.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복귀를 희망하는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다.
충남도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국 고율관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상당수가 복귀를 원하는 상황으로 전해졌다.
국내 복귀 기업으로 선정되면 산업통상자원부 심의를 거쳐 국내 복귀 투자보조금 지원과 법인세·지방세 감면 등의 세제 지원, 해외 인력 고용 지원, 금융 지원과 해외 사업장 구조조정 상담(컨설팅) 등을 받을 수 있다.
충남도도 이에 발맞춰 우리나라로 돌아오려는 기업들을 충남으로 이끌기 위한 노력에 나선 것이다.
도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상하이사무소에서 중국 상하이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유치 설명회를 가진 데 이어 한인회인 '상해 한국상회'를 찾아 복귀 기업 유치를 위한 현장 상담을 진행했다.
지난 3일 서울에서 열린 충남도 시·군 합동 기업 유치 설명회. 서산시 제공이러한 움직임 속 국내 복귀 기업이 실제 충남으로 향하는 성과도 나타났다. 지난 3일 서울에서 가진 합동 설명회에서는 베트남 소재 쌀국수 생산 기업과, 베트남에 있는 생산 공장을 서천군으로 복귀시키는 내용의 투자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 쌀국수 생산 기업은 서천 장항국가산업단지 1만2157㎡ 부지에 2027년까지 541억 원을 투자해 베트남에 있는 쌀국수와 향신료팩 생산 공장을 복귀시키기로 했다.
석유화학산업의 위기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서산시도 선제대응지역 지정 효과를 극대화한 기업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서산시는 2027년까지 2년 동안 수도권 인접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은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제공한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해당 보조금은 입지·설비 보조금으로 구성돼있으며, 지정 효과에 따라 중소기업의 경우 기존 30%에서 50% 이내로, 설비보조금은 기존 10%에서 25% 이내로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서산이 가진 산업 집적도와 대산항, 서산-영덕 고속도로 등의 물류 여건도 시가 강조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