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공부 잘하게 해주는 약'으로 잘못 알려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의 처방이 서울 강남과 서초, 성남 분당 등 이른바 '교육열 높은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3일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 급여 적정성 분석 및 정책적 함의'를 주제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ADHD 치료제 '메틸페니데이트'의 사용 현황을 공개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의사의 처방 하에 사용되는 전문의약품으로, ADHD 치료에 쓰인다. 그러나 '집중력 높이는 약', '공부 잘하게 해주는 약' 등으로 잘못 알려지면서 수험생과 학부모 사이에서 오남용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건수는 258만 7920건으로, 2007년(48만 8372건) 대비 5.3배 늘었다. 실제 처방을 받은 인원도 같은 기간 8만 2221명에서 32만 6748명으로 4배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0대, 소득별로는 고소득층(5분위)에서 처방이 가장 많았다.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사용이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시군구별로 보면 지난해 기준 서울 강남, 서초, 성남 분당, 송파, 용산이 처방 상위 1~5위를 차지했다. 상위 20위 내 수도권 외 지역은 대구 수성구(18위) 한 곳뿐이었다. 서울만 놓고 보면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가 2019년부터 6년째 처방 1~3위를 유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서울 대치동, 반포동, 잠실동, 일원동에서 인구 대비 처방률이 높았다. 건보공단은 "부동산 가격이 높고 학원가가 밀집한 지역일수록 처방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담당한 노연숙 건보공단 빅데이터융합연구부장은 "'공부 잘하는 약', '면접약' 등 사회적 성취를 위한 약물 의존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며 "정신과 약물 사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