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주민 대책위원회가 31일 국회에서 임미애 국회의원과 함께 '경북 초대형 산불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실시 요구 성명서'를 제출하고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제공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주민 대책위원회가 31일 국회에서 임미애 국회의원과 함께 '경북 초대형 산불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실시 요구 성명서'를 제출하고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제공올해 3월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청송·안동·영양·영덕으로 번진 사상 최악의 초대형 산불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국정조사 요구가 제기됐다.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주민 대책위원회는 31일 국회에 '경북 초대형 산불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실시 요구 성명서'를 제출하고, 정부와 지자체의 부실 대응 책임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책위는 성명서에서 "3월 22일 의성군에서 시작된 초대형 산불이 수천 헥타르의 산림과 수백 채의 주택을 잿더미로 만들고 수많은 이재민을 발생시켰다"면서 "이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정부의 구조적 관리 부실과 대응 실패로 인한 인재(人災)"라고 지적했다.  
이어 "초대형 산불 기간 동안 국가의 재난 대응 체계는 사실상 작동하지 않았다"며 "이번 산불은 사회재난으로 시작해 자연재난으로 진행된 복합재난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주민 대책위원회가 31일 국회에서 임미애 국회의원에게 '경북 초대형 산불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실시 요구 성명서'를 전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제공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주민 대책위원회가 31일 국회에서 임미애 국회의원에게 '경북 초대형 산불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실시 요구 성명서'를 전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제공대책위는 △재난 초기 헬기 투입과 인력 배치 지연 △중앙정부·산림청·소방청·지자체 간의 지휘 체계 혼선 △불법 소각과 노후 전력선 방치 등 예방 관리 부실 △피해 주민에 대한 미흡한 지원 등을 주요 문제로 꼽았다.  
			
		
특히 정부의 복구 대책이 일회성 위로금에 그치면서, 실질적인 생계 재건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들은 이번 사태는 단순한 지역 문제가 아니라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 전반의 허점을 드러낸 중대한 사안으로 국회는 즉시 국정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산불의 원인, 대응 과정, 예산 집행의 적정성, 향후 제도 개선 방안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헌법적 책무로, 진실이 밝혀지고 피해 주민의 삶이 회복될 때까지 끝까지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