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의 올림픽 관련 이미지. 전북도 제공전북특별자치도가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의견을 묵살하는 등 준비가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체육회가 준비 소홀 상황을 방관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불거졌다.
정연욱 의원(국민의힘)은 27일 열린 대한체육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2036 하계 올림픽의 전주 유치와 관련해 문제가 있다"고 전제한 후 "전북도가 타당성 조사 계획을 9월에서 12월로 연기하는 등 자꾸 추진 일정이 늦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한체육회도 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전북도와 여러 논의를 한 것 같은데, 전북도는 유치 신청 계획서 변경안에 대한 관련 기관과의 협의 자료 요청을 하자, '없다'는 답변을 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와 관련 "실제 올림픽 관련 기관과의 협의 자료가 없었는지 확인해 보니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제기한 의견이 나온다"고 전했다. 이어 "IOC는 해당 의견에서 경기장, 선수촌의 지나친 분산은 지양하라고 했다"며 "'연대 도시' 개념을 도입한 전북도는 IOC로부터 분산 모델에 대한 지적을 받았음에도 (이같은) 의견이 없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IOC, 2036년 명시하지 말라고 했는데, 여전히 사용"
대한체육회 유승민 회장(사진 왼쪽)과 김관영 전북지사. 전북도 제공 그는 또 "IOC는 2019년부터 올림픽 개최지 선정 시점을 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북도에 2036년이라는 특정연도를 명시하지 말아달라고 전달했다"며 "그럼에도 전북도는 여전히 2036년도 전주 올림픽이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준비가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특히 "대한체육회가 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정책적 조언, 서포트를 하는 것으로 안다.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고 길잡이 역할을 해야 한다"며 "하지만 체육회는 적당하게 손을 떼고 지켜보는 위치에 가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체육회 유승민 회장은 "IOC가 개최지 선정 방식을 바꾸었다"며 정 의원의 지적에 공감했다. 이어 "예전에는 IOC가 하나의 대회를 정해놓고 경쟁 도시를 취합 했다면 지금은 미래 지속 발전 가능한 모델로 바뀌었다"며 "그래서 우리가 개최를 선정하는 연도를 특정할 수 없다. 2036년은 내부적 목표"라고 설명했다.
유 회장은 "지난 6월 신임 IOC 위원장이 취임한 후 올림픽 유치도시 신청 계획이 잠깐 정지된 상황"이라고 말하는 등 올림픽 유치 관련 현 상황을 전했다. 그러면서 "올림픽 유치 건에 대해 체육회는 발을 빼고 있지 않고 적극 논의 중이다. 전북도에 대한 IOC의 지적은 '유치 부적격'이라는 말은 아니고, 조언을 해준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