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바젤 무궤도 트램.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내년 상반기부터 신교통수단(3칸 굴절차량)을 운행한다고 밝힌 가운데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실시설계 용역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을 강행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시에 따르면 중앙버스전용차로가 만들어진 도안동로 일원에 230명을 수송할 수 있는 3칸 굴절차량 3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정부의 규제 특례를 받아 진행하는 사업으로, 충남대에서 정림사거리 7.8㎞ 구간을 트램 사업과의 공기 불일치와 전용차로 감소 등의 이유로 6.5㎞로 단축했다.
시는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앞서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하고 조달청에 차량 구매 계약을 의뢰했다. 지난 7월 중국 CRRC ART로 차량을 선정했다.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전 경실련)은 "이 사업이 행정의 기본적인 원칙과 절차를 무시한 채 진행되고 있어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꼬집었다.
경실련은 "통상적인 행정 절차는 기본계획 수립 이후 실시설계 용역과 최적 차량 도출, 차량 도입 발주의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상식이지만, 시는 이러한 상식적 절차를 뒤집고 기본 및 설계 용역이 아직 진행 중임에도 올해 4월 국제입찰을 발주하고 같은 해 7월 92억 원 규모의 차량구매 계약 3대를 강행하는 이해할 수 없는 행태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용역 결과가 어떻게 도출되느냐에 따라 그에 적합한 차량을 도입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그러나 해당 노선의 승객 수요를 볼 때 출퇴근 시간 이외에 승객 수요 확보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어 현재 계약된 차량의 경우 과도한 용량의 버스라 여겨진다"고도 했다.
경실련은 주민 의견 수렴 없는 일방적 사업 추진과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한 무리한 성과 내기 의혹 등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아직 국내에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절차가 제도적으로 규정돼 있지 않다"며 "시민 의견 또한 주민 설명회를 거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