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광주·전남 제조업 70% "올해 실적 목표 미달"…내수침체·원가상승 '이중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지역 기업 10곳 중 7곳 매출·이익 부진 전망…"세제·금융부담 완화 시급"

광주상공회의소 전경. 광주상의 제공광주상공회의소 전경. 광주상의 제공
광주·전남 제조업체 10곳 중 7곳이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장기적인 내수시장 침체와 원자재·인건비 상승이 겹치면서 지역 제조업이 전반적인 수익성 악화와 성장 정체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공회의소는 최근 지역 제조업체 13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요인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0.1%가 "올해 매출이 목표에 미달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목표 달성'은 24.6%, '초과 달성'은 5.3%에 그쳤다. 매출 부진의 주된 이유로는 '내수시장 침체'(57.5%)가 가장 많이 꼽혔고, '수출시장 경기 둔화'(23.9%)와 '시장 경쟁 심화'(11.2%)가 뒤를 이었다.

영업이익 전망도 비슷했다. 전체의 70.9%가 "이익이 목표치에 못 미칠 것"이라고 답했으며, 응답 기업의 절반 가까운 47.0%가 영업수지를 '손익분기 수준'으로 전망했다. 수익성 악화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상승'(41.8%), '인건비 상승'(20.1%), '금융비용 증가'(15.7%) 순으로 나타났다.

생산과 조직 관리 측면에서도 '자금 사정 악화'(39.6%), '인력 수급난'(28.4%)이 주요 애로로 지적됐다. 이는 지역 제조업이 자금 유동성과 인력 확보 모두에서 이중 압박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입법 분야(복수응답)는 '법인세 등 기업비용 증가'(56.7%), '상법·공정거래법 등 규제 강화'(53.7%), '노사관계 부담 확대'(33.6%) 순이었다. 반면 기업성장과 실적 개선을 위해 필요한 입법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58.2%)과 '고용·노동시장 유연화'(52.2%), '위기산업 사업재편 지원'(23.1%)이 꼽혔다.

광주상공회의소 채화석 상근부회장은 "지역 제조업이 내수 부진과 비용 상승의 장기화로 한계 상황에 몰려 있다"며 "세제·금융 부담 완화와 함께 산업 구조 전환을 위한 실질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