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국대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도약…첨복단지 5개년 계획 발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5대 전략' 제시
단지 내 기술서비스 '수요 맞춤형'으로 개편
감염병 대응·첨단재생의료 등 연구개발…공공성 강화
정은경 "정부 국정과제 '바이오헬스 강국' 달성 위해 최선"

보건복지부가 향후 5년간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복지부는 22일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을 발표하고, 5대 전략과 13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첨복단지)의 경쟁력 강화와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첨복단지는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된 바이오헬스 집적단지로, 신약·의료기기 개발부터 비임상시험, 시제품 생산까지 전주기 기술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종합계획은 지난 15년간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첨복단지 조성계획(2010~2038)의 반환점을 맞아 후반기 전략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번 계획의 비전은 '혁신과 연계로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으로 △산업생태계 강화를 위한 혁신 지원 △공공적 역할 중심의 기반 R&D 강화 △첨복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운영기반 안정화 등 5대 전략이 추진된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5대 전략. 보건복지부 제공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5대 전략. 보건복지부 제공
먼저 복지부는 첨복단지 내 기술서비스를 수요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정기 수요조사와 만족도 평가를 통해 기술지원의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또 제약스마트팩토리 등 신규 인프라를 활용해 비임상 평가 대상 확대, QbD(Quality by Design) 기반 생산 서비스 고도화 등 기술서비스를 다양화한다.

창업·성장 지원도 강화해 연구개발부터 인허가, 마케팅, 판로 개척까지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연계한 찾아가는 규제 컨설팅과 인허가 교육·상담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첨복단지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복단지 특화 프로그램형 R&D'를 도입해 핵심 인프라 기능을 최적화하고, 공백기술과 보건안보 분야 지원을 확대한다.

특히 감염병 대응, 첨단재생의료, 디지털 공정혁신 플랫폼 등 공공성이 높은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의료현장 수요를 반영한 국산 의료기기 성능 향상 및 글로벌 인증·평가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아울러 대구·오송 양 단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산업 동향 및 연구 성과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를 활성화한다. 이를 통해 입주기관 간 공동연구 및 기술교류회를 정례화하고, 각 단지의 특화 기능을 연계한 기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밖에도 첨복단지 내 노후 장비를 개선하고, 공공 CRDMO(위탁연구개발생산기관)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신규 장비 도입과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또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통합을 추진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첨단의료단지법'을 현행 지정·조성 중심에서 '육성과 활성화 중심의 법체계'로 개편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종합계획 수립에 따라 과기부·산업부 등 관계부처, 대구시·충북도 양 지자체 및 대구경북·오송 양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함께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해 종합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첨단의료복합단지가 국가대표 클러스터로서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이끌어 국민주권정부 123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의료AI·제약·바이오헬스 강국 실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