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김용범 "한미협상 실질적 진전…APEC 타결 가능성 높아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 위해 방미 후 귀국

'키맨' 러트닉 상무장관 등 만나 이견 조율
"쟁점 한두가지 남아…상호호혜 의견 근접"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찾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오른쪽)과 여한구 통성교섭본부장이 19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한 뒤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찾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오른쪽)과 여한구 통성교섭본부장이 19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한 뒤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한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9일 "대부분의 쟁점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한미 양국이 매우 진지하고 건설적인 분위기 속에서 협상에 임했다"며 "2시간이 훌쩍 넘는 공식 협의 외에 이어진 만찬 자리에서도 밀도있는 대화를 주고받았다"고 말했다.

앞서 김 실장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고위당국자들은 일제히 방미길에 올라 관세 인하 조건인 3500억 달러(약 497조 원) 규모 대미 투자 방식을 두고 미 측과 집중 협상을 벌였다. 

김 실장은 김 장관과 함께 지난 16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2시간 넘게 만나 이견을 조율했다.

김 실장은 이달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기간에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에 대해선 "이번 방미 이전보다는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답했다.

다만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쟁점 한두 가지가 남아있다"며 "우리 부처와 심도 있게 검토해서 우리 입장을 추가적으로 (미 측에) 전달하고 더 협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3500억 달러' 투자 규모에 대해서는 "7월 31일 합의된 내용이라 그 숫자를 유념하고 있고, 대한민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에서 상호호혜적인 프로그램이어야 한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당히 의견이 근접해가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미국은 3500억 달러 투자 자금 운용 방식을 두고 '전액 선불 투자'를 요구해왔으나 한국은 외환시장 충격을 우려해 직접 투자 비중을 조정해야 한다고 맞서왔다. 김 실장은 "대한민국 외환시장에 미치는 충격에 대해 미국이 충분히 인지하고 이해했다"고 말했다.

당초 협상의 필요조건으로 제시했던 '무제한 통화스와프'에 대해서는 "그것도 외환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는) 부분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온 얘기지 않나"라며 "그 부분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이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개별적인 프로그램, 숫자까지는 협상이 진행 중이라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 "이번 협의의 성과를 토대로 협상이 원만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