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 최측근인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출석 여부에 대한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다. 여당이 자꾸 '가정을 전제로 한' 입장을 제시하자, 야당은 '결국 불출석한다는 것 아니냐'고 의심한다. 일각에서 김 실장을 향한 도 넘은 막말까지 터져 나오면서 셈이 더 복잡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10일 당 최고위원회의 직후 "오늘 이 시간까지 아직 어떤 결정도 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전날 본인이 라디오 인터뷰에선 "출석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힌 뒤 유튜브에서 "의도가 뻔히 보이는 정치 공세를 위한 증인 신청에 동의할 수 있겠냐"고 언급해 혼선을 낳았던 데 대한 추가 설명이다.
박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실은 불출석 입장을 갖고 있지 않다는 걸 한 가지 말씀드렸고, 두 번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 원내지도부가 협상 과정에서 결론에 이르지 못하는 이유는 '국민의힘 의도가 너무 명확하게 보이는 상황에서 그렇게 쉽게 응할 지도부가 어디 있는가' 하는 당의 입장도 맞다는 것"이라고 항변했다.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다만 당 원내지도부는 국민의힘 쪽에 날을 더 세웠다. 원내지도부는 실제 김 실장 증인 채택에 관한 협상 주체이자 국감에서 대통령실을 소관하는 국회 운영위원회를 주도하고 있다.
김병기 원내대표 겸 국회 운영위원장은 이날 별도의 언론 브리핑에서 "김 실장이 총무비서관일 당시 문제가 생겼다면 고려해보겠지만 문제가 없는데도 불러야 하느냐"며 "그런 논리라면 (전 정부에서) 인사에 가장 관여한 김건희를 불러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국감을 정쟁의 장으로 삼는건 용납하지 않겠다는 걸 분명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도 "정쟁을 야기할 의도라고 한다면 받아줄 수 없다"면서 "아직 야당의 요구가 없지만 요구가 있다면 합리적인 명분이 되는지를 생각하고 따져야 할 것"이라고 거들었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일각에서 김 실장과 이 대통령의 관계를 겨냥한 막말 문제가 터졌다.
국민의힘 소속 김미나 창원시의원은 지난 8일 소셜미디어에 두 사람을 두고 '자식을 나눈 사이가 아니냐'는 근거 없는 낭설을 적었다가 논란이 커지자 삭제했다. 그러면서도 "김현지를 궁금해하면 안 되냐"고 뒤끝을 남겼다.
김 시의원은 3년 전 이태원 참사 피해자와 유가족을 향한 막말을 페이스북에 적었다가 모욕 혐의 유죄와 1억 4천여만원의 피해를 배상하라는 민사 판결을 받았던 인물이다.
김 시의원 막말 논란에 민주당 한준호 최고위원은 "응분의 책임을 묻겠다"며 고발을 포함한 강력한 조치를 당 차원에서 취하겠다고 예고했다.
이 문제가 갈수록 부각되면서 애초 김 실장 국감 출석을 원칙으로 했던 대통령실에서도 난감해하는 눈치다. 우상호 정무수석이 추석 전 공언했던 '100% 출석' 입장도 '여당의 반대'를 고리로 번복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반면, 야당은 연일 공세중이지만 내부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상존한다. '뭔가 있을 것처럼 기대감만 높여 놨다가 헛물 켜는 건 아닐까(초선 의원)' 하는 걱정에서다. 그러나 이슈가 커지면서 도중에 발 빼기도 어려워진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