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글씨로 빛나는 토박이말 공모전 시상식. 창원시 제공창원특례시가 오는 10월 9일 제579돌 한글날을 맞아 개최한 '멋글씨로 빛나는 토박이말 공모전'과 '행사(사업)명 바로쓰기 우수부서'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시는 지난 25일 국어진흥위원회(위원장 장금용 제1부시장) 임시 회의를 열고 두 행사에 대한 심사를 진행했다. 앞서 시는 지역어를 발굴하고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9월 1일부터 19일까지 시민과 직원을 대상으로 두 가지 공모전을 열었다.
먼저, 올해 2회를 맞은 '멋글씨로 빛나는 토박이말 공모전'에는 총 60명의 시민이 74건의 멋글씨 작품을 출품했다. 으뜸상은 배영희 씨 작품 '정지에 가가 정구지 지짐이 지지가 지렁도 챙기가 후딱 내와라카이'가 선정됐다. 작품 속 '정지(부엌)', '정구지(부추)', '지렁(간장)' 등은 예부터 창원 지역 등에서 써온 말로, 적합성·표현력·참신성·노력도 평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다.
버금상에는 △한현숙 씨의 '까리하다(멋지다)' △구지운 씨의 '부꿈숨기(숨바꼭질)' △정남숙 씨의 '오동동에서 니캉내캉 아구찜 함 무보까' 작품이 각각 선정됐다. 국어진흥위원회 위원들은 "지역의 정체성을 살린 언어 표현이 돋보인다"는 평을 전했다.
멋글씨로 빛나는 토박이말 공모전 으뜸상(정지 정구지). 창원시 제공 두 번째 행사인 직원 대상 '행사(사업)명 바로쓰기 우수부서 공모전'에는 창원시 16개 부서가 23건의 올바른 우리말 행사명·사업명 사례를 제출했다. 이 중 으뜸상은 도서관사업소 성산도서관과의 행사명 '모두 다 함께 들락날락, 다락'이 차지했다. 성산도서관과는 창원중앙도서관 생활문화공간 '다락'에서 열리는 행사에 외래어 대신 우리말을 적용해, 시민들이 공간을 자유롭게 오가며 이용하길 바란다는 의미를 담아 호평을 받았다.
버금상은 성산구 사회복지과의 '마음 똑똑, 고민톡톡, 희망 두드림'이 선정됐다. 이 사업은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해소를 목표로, 쉽고 따뜻한 우리말 표현을 사용해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다.
국어진흥위원회는 심사평을 통해 "한글날을 맞아 토박이말을 중심으로 한 행사가 의미 있고, 시민 작품 수준이 매우 높다"며 "산업도시 창원에서 토착 문화와 언어에 관한 관심이 부족한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이번 행사가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동호 국어책임관(공보관)은 "앞으로도 지역어를 발굴하고 널리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겠다. 또한 어려운 전문 용어와 외래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시민에게 더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행정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