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전 부통령. 연합뉴스지난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쟁 상대였던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관세는 평범한 미국인들에게 부과되는 세금"이라며 직격탄을 날렸다.
해리스 전 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출간된 회고록 '107일'에서 트럼프의 관세가 결국 제품 가격을 올려 미국의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전가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책 제목 '107일'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급작스런 대선 후보직 사퇴 이후 바통을 넘겨받은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 캠페인을 벌인 기간을 의미한다.
퇴임 후 LA에 거주하고 있는 해리스 전 부통령은 이날 책 출간을 계기로 뉴욕, 샌프란시스코, 토론토, 런던 등 15개 도시를 순회하는 '북 투어'에 나설 예정이다.
이는 사실상 정치 재개를 뜻하는 것으로 차기 대선 행보에도 박차를 가할지 주목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해리스 전 부통령에 대한 경호를 종료하는 각서에 서명한 바 있다.
통상 부통령의 경우 퇴임 후 6개월동안 비밀경호국의 경호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올해 1월 자리에서 물러난 해리스 전 부통령은 지난 7월까지가 경호 대상이었다.
하지만 전임인 조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을 떠나면서 해리스에 대한 경호를 1년으로 연장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연장 조치를 취소시킨 것이다.
해리스 부통령은 또한 회고록에서 "트럼프는 자기 주머니만 채우고 억만장자들만 더 부유하게 만들었으며, 중산층을 위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빈곤층의 형편은 더 나빠지게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LA에 대한 주방위군 배치, 의회 폭동 가담자 사면, 이민당국의 공포 조성, 국제적 우호 악화 등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들을 조목조목 짚어가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해리스 전 부통령은 "대선 패배 다음 날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여전히 믿을 수가 없었다"며 "하지만 민주주의를 위해, 내 존엄성을 위해, 미국을 위한 우리의 비전을 믿고 지지해준 7500만명이 넘는 유권자들을 위해 개인적 정신적 혼란을 넘어 할 일을 해야 했다"고 말했다.
2020년 대선에서 패배한 트럼프 대통령이 무시했던 평화로운 권력 이양의 기준을 회복시켰다는 점을 부각한 것이다.
이 책에 따르면, 해리스 전 부통령이 대선 패배를 인정하는 전화를 걸자 당시 트럼프 후보는 "나는 친절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일 것"이라며 "당신은 강인하고 똑똑한 사람이고 이건 존경을 담아 하는 말"이라고 답했다.
한편 해리스 전 부통령은 이번 회고록에서 차기 대권을 노리는 민주당 유력 주자들과 바이든 당시 대통령에 대해서도 부정적 평가를 내려 논란이 일고 있다.
해리스 전 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러닝메이트 검토 과정에서 피트 부티지지 전 교통부 장관을 배제한 이유를 "그가 동성애자이기 때문"이라고 말했고, 또 다른 러닝메이트 후보군이었던 조시 셔피로 펜실베이니아 주지사에 대해서는 "2인자로서 만족하지 못할 것 같다는 불편한 걱정이 들었다"고 적었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해서 그는 "트럼프 후보와 대선 후보 토론을 벌이기 몇 시간 전에 바이든 대통령이 전화를 걸어왔다"며 "도저히 왜 전화했는지 알 수가 없었다"고 회고했다.
해리스 전 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은 내가 자신의 험담을 하고 다닌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고, 지난 대선 후보 토론에서 본인이 트럼프를 이겼다는 얘기를 장황하게 늘어놓았다"며 "왜 하필 그 중요한 순간에 내 주의를 흐트러뜨리는 일을 했는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