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구청 전경. 남구 제공부산 기초지자체 산하 공단에서 뇌물 등 혐의로 파면된 공직자가 새 이사장으로 임명되는 등 연일 논란이 일자 시민단체들이 자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참여연대는 18일 성명을 통해 남구와 동구시설공단이 부채 증가와 수익성 악화로 지자체 재정 부담을 키우고 있다며 설립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런 와중에 뇌물과 횡령으로 파면된 전력이 있는 인물이 남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으로 임명돼 신뢰까지 무너졌다고 비판했다.
이들에 따르면 2022년 10월 출범한 남구시설관리공단은 3년 연속 부채 규모와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동구 역시 공단 설립 이후 영업 수입 증가는 3.63%에 그쳤지만, 비용은 증가해 결국 영업 이익은 15.9% 감소하게 됐다는 게 이들 설명이다.
이들은 "기초지자체 공무원이 해왔고 할 수 있는 업무를 위해 별도 기관을 만들면서 지자체 재정은 더욱 어렵게 됐다. 남구와 동구시설관리공단 설립으 결국 주민 부담만 가중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해 기준 남구와 동구의 재정자립도는 각각 17%, 14%로, 전국 지자체 평균인 27.4%에 미치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자체 수입으로 기관 운영이 힘들어진다면 구비가 투입돼 구 재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면서 "남구와 동구의 산하기관 설립이 과연 적절했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남구는 시설관리공단이 3년째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에서뇌물과 횡령으로 다른 기관에서 파면된 인사를 임명했다. 무책임하고 무능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며 "이는 공직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고 남구시설관리공단의 공공성도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남구는 시설관리공단 제2대 임원진을 임명했다. 하지만 이사장으로 임명한 A씨가 2013년 부산시체육회에서 근무할 당시 금품을 수수하고 시 체육회 예산을 횡령한 혐의로 파면 처분을 받은 바 있다는 이력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었다. 한편 A씨는 지난 12일 공식 취임해 오는 2028년 9월까지 임기를 수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