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 구금시설. 연합뉴스방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이 10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면담한 뒤 조지아주에 구금된 300여명의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신속한 석방을 요청했다.
이후 미 측으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받은 것으로 전해지면서 한국인 근로자들의 귀국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조 장관은 이날 백악관에서 루비오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외교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또한 이들이 향후 미국 재방문에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도록 미 행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조 장관은 특히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한미 외교부-국무부 워킹그룹' 신설을 제의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조 장관은 또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내 제조업 부흥 노력에 기여하고자 기술·노하우를 전수하러 미국에 온 한국 노동자들이 체포·구금되는 과정이 공개되어 한국 국민이 상처와 충격을 받았다면서 깊은 우려를 전달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도 이재명 대통령과 도출한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고, 이 사안에 대한 한국인의 민감성을 이해하며, 특히 미국 경제·제조업 부흥을 위한 한국의 투자와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루비오 장관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원하는 바대로 가능한 이뤄질 수 있도록 신속히 협의하고 조치할 것을 지시했다"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이는 구금자들을 공항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수갑 등을 차지 않도록 해 달라는 한국의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양국 장관은 최근 중국 전승절을 계기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방중 결과와 함의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
조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한 페이스 메이커로서의 역할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고, 이를 위한 협력을 모색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에 대해, 루비오 장관은 대북 대화에 열려있다면서, 이를 위해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또 한미 정상회담을 포함한 고위급 외교 일정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외교부는 "오늘 면담에 따라 우리 정부는 미측과 행정적 실무협의를 적극 전개하고 있으며, 필요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해 국민들이 가장 빠른 시일 내 구금에서 해제되고 귀국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