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김명지 의원. 전북도의회 제공전북특별자치도가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만든 국 단위 조직이 인력 운용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북도의회 김명지 의원(전주11)은 9일 제421회 임시회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전주하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의 조직 과대화 문제를 지적했다.
김명지 의원은 "IOC(국제올림픽위원회)가 개최지 결정을 위한 일정조차 명확히 밝히지 않은 상황에서 전북도가 국 단위 '올림픽 유치단'을 신설하고 47명 규모의 인력을 배치한 것은 과도하다"고 짚었다. 이어 "이로 인해 다른 부서의 인력 공백과 행정 지연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성과 검증 없는 예산 투입과 성급한 조직 확대는 도민 삶과 직결된 필수 행정 서비스에 부담을 줄 뿐"이라고 지적했다. 전북도의 '2036하계올림픽 유치단'은 유치총괄과, 국제과, 평가대응과로 구성됐다. 지난 7월 조직개편을 통해 시·군 파견(11명), 시간선택제와 출연기관 파견(총 4명), 전북도 공무원(32명)으로 조직을 꾸렸다.
김 의원은 "시기상조인 조직 확대와 무분별한 예산 투입은 도민에게 짐이 될 뿐"이라며 "도정은 정치적 성과가 아닌 실질적 미래 전략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전북도의 일부 부서장은 올림픽 유치단에 다수의 인력이 배치되면서 인력 충원이나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소연한다.
이에 대해 김관영 도지사는 서면을 통해 "올림픽 유치는 도시와 국가의 장기 성장 동력과 직결되는 국제 프로젝트로 초기 단계부터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며 "이번 조직·인력 보강은 불필요한 확대가 아니라 유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투자"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