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과 사진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모습. 연합뉴스미국 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으로 300명이 넘는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된 사태가 벌어진 가운데 정부가 단속 대상이 된 현대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등 대미(對美) 투자 기업들과 긴급 간담회를 열고 관련 내용 점검에 나섰다.
8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오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와 공동으로 대미 투자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이 자리에서 미국 투자 프로젝트 현장 운영과 관련해 각 기업의 인력 운용 현황을 점검하고 미국 비자 확보에 관한 건의 사항도 들었다.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기업들의 상황을 잘 들었고 저희의 생각도 기업들과 공유했다"며 "우리 기업들이 부당하게 불이익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해결책과 대안이 있을지 잘 고민하고 관계부처인 외교부와 긴밀히 협의하겠다"면서 "(이런 간담회가) 일회성으로 끝나면 안 되고 현지 진출 기업들과 계속 소통하면서 해결책을 마련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재계는 한국인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별도의 취업비자(E-4)를 신설을 요구해 왔다. 정부도 전문직 비자 발급을 꾸준히 요구해 왔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얻어내지는 못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멕시코·캐나다(무제한), 싱가포르(5400명), 호주(1만 500명) 등은 국가별 연간 전문직 비자 발급 쿼터를 할당받은 상태다.